| 생리학 실습 보고서 
 심 전 도
 
 1. 서론
 심전도(electrocradiogram)란 무엇인가 그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자.
 
 (1) 심장의 구조
 1) 심막(Pericardium) - 크게 외측의 섬유성 심막과 내측의 장막성 심막으로 나뉘는데 장막성 심막은 벽측과 장층으로 나뉘어지고 장층(심상막, 심외막) 안쪽으로 심근층과 심내막이 있다. 또, 장막성 심막의 벽측과 장측사이에는 심막액이 있어 마찰방지 역할을 한다.
 2) 심장벽 - 시상막(외층), 심근층(중층), 심내막(내층)
 3) 2심방 2심실로 이루어져 있고 방간중격에는 태아기의 난원공 흔적인 난원와가 있다.
 4) 판막(Valve) 및 대혈관 - 총 4개의 판막이 있으며 삼첨판, 폐동맥판, 대동맥판은 판막이 3개이다.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① 우심방 - 삼첨판,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
 ② 좌심방 - 이첨판(승모판), 폐정맥(동맥혈)
 ③ 우심실 - 폐동맥판, 폐동맥(정맥혈)
 ④ 좌심실 - 대동맥판, 대동맥
 
 (2) 심장의 자극전도계
 1) 자동능 -심장은 특수한 근육을 가지고 있어 심장 스스로가 자극을 일으키고 전도하는 능력이 있다. 이를 통하여 수축과 이완을 계속하며 자율신경계는 이 수축과 이완의 증감에만 관여한다.
 2) 자극전도계 순서
 ① 동방결절(SA node) - Pacemaker, 상대정맥 개구부에 위치
 ② 방실결절(AV node) - 방간중격의 하단 우심방에 위치
 ③ 방실속(AV or His bundle)
 ④ 좌우각(R L bundle branch)
 ⑤ 푸르킨예섬유(Purkinje fibers) - 전도 근섬유(심실의 고유근에 자극전달)
 3) 흥분전도 속도
 ① Purkinje fibers - 4m/sec
 ② 심방근, 방실속, 심실근 - 1m/sec
 ③ 동방결절, 방실결절 - 0.05m/se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