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기초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 중요도에 따라 빨간색과 '★'로 구분
 ▶ 도표를 이용한 이해력 향상
 |  
        |  |  
        |  |  
        |  |  
        | ▶ 도표를 이용한 이해력 향상 
 
 
 ■ 국세기본법
 1. 조세의 분류
 2. 조세서류의 송달
 3. 과세요건
 4. 납세의무의 성립시기
 5. 납세의무의 확정
 6. 수정신고와 경정청구 및 기한 후 신고
 7. 국세우선의 원칙의 예외
 8. 위법부당과세의 불복절차
 
 ■ 소득세법
 9. 거주자와 비거주자
 10. 소득별 과세방법
 11. 이자소득의 범위
 12. 이자소득의 수입시기
 13. 의제배당
 14. 원천징수세율
 15. 조건부 분리과세 금융소득
 16. 종합소득공제
 17. 초과누진세율
 18. 상속세 확정신고
 
 ■ 상속세 및 증여세
 19. 상속재산과 과세가액(유산세 체계)
 20. 증여세의 계산구조
 21. 증여재산 공제액
 22. 신고와 납부기한
 23. 물납과 연부연납
 
 ■ 증권거래세법
 24. 증권거래세율
 25. 증권거래세 신고와 납부
 |  
        |  |  
        |  |  
        |  |  
        | ■ 국세기본법 1. 조세의 분류
 
 <표 : 조세 분류와 구분>
 
 2. 조세서류의 송달
 * 교부송달 : 송달장소에서 서류 교부
 * 우편송달 : 등기우편에 의한 교부
 * 전자송달 : 송달 받는 자가 신청 시에 한하여 전자우편으로 교부
 * 공시송달 : 공고 후 14일 이후 서류가 송달된 것으로 본다.
 - 송달장소각 국외에 있어 송달불가 시
 - 송달장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때
 - 반송되어 납부기한 내에 송달이 불가능하다고 인정되는 때
 
 3. 과세요건 : 납세의무자, 과세물건, 과세표준, 세율 
 
 4. 납세의무의 성립시기 
 
 <표 : 세금별 의무성립시기>
 
 5. 납세의무의 확정
 * 신고확정 : 의무자의 신고로 세액이 확정(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증권거래세 등)
 * 부과확정 : 정부가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상속세, 증여세)
 * 자동확정 : 납세의무 성립 시 특별한 절차 없이 확정(인지세, 소득세, 법인세 등)
 
 6. 수정신고와 경정청구 및 기한 후 신고 
 
 <표 : 수정신고, 경정청구, 기한 후 신고 구분>
 
 
 <중략>
 |  
        |  |  
        |  |  
        |  |  
        |  |  
        |  |  
        | ▶ 국세청 ▶ 한국거래소
 ▶ 한국금융투자협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