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공익사업과 중재
리포트 > 법학
필수 공익사업과 중재
한글
2011.08.29
3페이지
1. 필수공익사업과중재.hwp
2. 필수공익사업과중재.pdf
필수 공익사업과 중재
필수공익사업과 중재제도에 대한 연구

1. 필수공익사업

1) 필수공익사업의 법적 정의

노조법 제71조에서는‘공익사업’을 공중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공익사업에 해당하는 사업으로는 ▲정기노선 여객운수사업, ▲수도전기가스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공중위생 및 의료사업, ▲은행 및 조폐사업, ▲방송 및 통신사업 등이다.
한편, 이 법에서‘필수공익사업’이라 함은 앞서 언급한 공익사업으로서 그 업무의 정지 또는 폐지가 공중의 일상생활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거나 국민경제를 현저히 저해하고 그 업무의 대체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으로서 ▲철도(도시철도 포함) 및 시내버스(특별시광역시에 한함), ▲수도전기가스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병원사업, ▲은행사업, ▲통신사업 등이 해당된다.

다만, 시내버스 운송사업 및 은행사업(한국은행 제외)은 노조법 부칙 제2조에 의하여 2001년 1월 1일부터 필수공익사업에서 제외되었다.

2) 필수공익사업과 관련된 논의쟁점

① 직권중재제도의 위헌성 : 공익사업체 근로자의 쟁의행위권을 사실상 부인하는 노조법상의 직권중재조항에 대하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다소 다른 입장을 보여왔다. 대법원은 일관되게 직권중재에 대한 합헌성을 인정해온 반면, 헌법재판소는 비록 총9명의 재판관 중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위헌결정으로 인정되지만 과거4명이 합헌, 5명이 위헌에 찬성한 사례가 있어 계속해서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② 필수공익사업의 범위조정문제 : 공익사업에 대한 직권중재제도는 1953년에 제정된 노동쟁의조정법(現‘노조법’)에서부터 존재하였는데, 이후 몇차례의 개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그 범위가 다소 축소되고 있다는 게 대부분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
필수 공익사업의 직권중재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필수공익사업의 노동쟁의조정제도 공익사업과 노동쟁의조정 및 중재의 특칙에 대..
필수공익사업의 노동쟁의 조정에 대한 법적 검토 노조법상 필수유지업무 정지 등의 금지 연구1
필수유지업무제도와 관련한 노조법상 쟁점 검토 직권중재제도 개괄
07년 개정법에 따른 공적 조정제도 전반에 대한.. 쟁의행위와 대체근로의 제한
노동법상 중재 중재의요건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라
중재의 의의와 관련한 판례 중재의 의의와 관련한 판례연구1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
취업시간 중의 조합활동과 노..
[법학] 법률행위의 의의와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