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에 관한 판례법리연구
리포트 > 법학
전직에 관한 판례법리연구
한글
2011.08.29
3페이지
1. 전직에관한판례법리연구.hwp
2. 전직에관한판례법리연구.pdf
전직에 관한 판례법리연구
전직에 관한 판례 법리 연구

1. 의의

전직에 대한 판례 법리는 “기업이 그 활동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력을 재배치하거나 그 수급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근로자에 대한 전보나 전직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권한으로서 업무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이 인정”된다는 문언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두2963 판결
즉 법원은, 전직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한 처분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기업 운영상 불가피한 것으로서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권한에 속하고 상당한 재량을 인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를 바라볼 때 빠뜨려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이 인정되는 것은 “업무상 필요한 범위”로 제한된다는 것이다. 흔히 전직과 관련한 사건을 다룰 때 간과하는 것이 전직이나 전보에 관한 사용자의 인사권 역시 “업무상 필요한 범위”내의 경우에만 정당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직(轉職)이란 “동일한 기업 내에서 근로자의 근로계약상의 지위(근로의 종류, 장소)를 장기간에 걸쳐 변동시키는 인사조치”를 의미한다. 김유성, 「노동법Ⅰ」, 245면

근로자의 취업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의 내용은 근로계약 체결 시에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명시하여야 할 사항이다(근로기준법 제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7조 제1호). 근로계약에서 근로의 내용이나 근무 장소를 특별히 약정한 경우에는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용자가 이를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 계약에서 약정한 내용의 변경은 계약당사자간의 합의를 요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근로계약에서 구체적으로 특정한 바가 없는 경우이다.

....
전직 명령의 효력에 관한 판례연구 전직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연구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의 판례연구 유동적 무효의 법리에 관한 판례연구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 관련 판례연구1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관련 판례
전직 금지 약정의 유효성 및 한계 부당노동행위유형 중 불이익 취급관련 판례연구1
준법투쟁 관련 주요 판례 준법투쟁 관련 주요판례연구1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해석 관련 판례연구1 부당노동행위유형 중반 조합계약관련 판례연구1
쟁의행위의 수단의 정당성관련 판례연구1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불이익취급 관련 판례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
취업시간 중의 조합활동과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