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행정] 공용수용 |  
        |  |  
        |  |  
        |  |  
        | 공용수용 
 1.개설
 (1)개념
 특정한 공익사업을 위하여 타인의 특정한 재산권을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것
 (2)근거
 헌 §23 ③⇒공용수용의 근거와 그 보상은 법률로써 함
 토지수용법이 일반법, 기타 개별법
 
 2.공용수용의 당사자와 목적물
 (1)당사자
 
 수용권자
 공용수용을 할 수 있는 특정한 공익사업의 주체
 국가수용권설
 수용권이란 공용수용의 효과를 야기시킬수 있는 법상의 능력
 기업자수용권설
 (다수설)
 공용수용의 주체는 공용수용의 효과를 향수하는 자,즉 재산권의 취득자인 기업자
 피수용자
 공용수용의 목적물인 재산권의 주체
 
 (2)목적물
 
 ①목적물의 종류
 토지소유권과 기타의 권리
 
 ②목적물의 제한
 치외법권이 인정된 외교사절의 관저‧부지, 공물, 현재 토지를 수용‧사용할수 있는 사업에 제공되어 있는 토지 등
 
 ③목적물의 확장
 
 확장수용
 특정한 공익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정도나 범위를 넘는 수용
 잔지수용
 동일한 토지소유자의 일단의 토지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잔여지를
 종래목적대로 사용하는 것이 현저히 곤란할 때 토지소유자의
 청구로 그 잔여지까지 수용하는 것(토수 §48 ①)
 완전수용
 토지의 사용에 있어 그 사용이 장기간이거나(토수-3년이상) 형질이
 변경될 때, 사용대상토지에 건물이 있을 때 등에 토지소유자의
 청구로 그 토지를 수용하는 것
 이전수용
 수용할 토지에 있는 물건의 이전이 현저히 곤란하거나 이전으로
 인해 종래목적대로 그 물건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소유자의청구로
 그 물건을 수용하거나, 이전료가 그 물건의 가격을 초과할 때
 기업자의 청구로 그 물건을 수요하는 것
 지대수용
 사업을 위해 필요한 토지 이외에 인접한 부근 일대의 토지를 수용하는 것
 
 3.공용수용의 절차
 (1)보통절차
 
 사업인정
 의의
 ①개념:특정한 사업이 공용수용을 할 만한 공익사업에 해당함을 인정하여 일정한 절차를 거칠것을 조건으로 기업자에게 특정한 재산권의 수용권을 부여하는 형성적 행정행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