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혐기성소화에의한수처
      
	 | 
       
      
         | 
       
      
      
         | 
       
      
          | 
       
      
         
혐기성소화에 의한 수처리 
 
≪혐기성소화는≫ 
 
 ◦ 밀폐된 탱크에 슬러지를 투입하면 혐기성 미생물의 분해작용으로 
 ◦ 분해가 어려운 다당류의 유기물을 분해하기 쉬운 단당류의 안정된 
 유기물 또는 불활성 무기물로 전환되게 하는 수처리 방법 
 ※ 유기물⇒유기산, 알콜⇒초산⇒메탄가스⇒연소⇒온도조절 
 
1. 혐기성 분해과정 
 가. 산생성 단계 
 1) 탄수화물은 
 ◦ 가수분해되어 포도당으로 전환 
 ◦ 전분은 Maltose, Glucose로 분해되어 
 - 초산(CH3COOH) 프로피온산(CH3CH2COOH) 
 - 낙산(CH3CH2CH2COOH), 개미산(HCOOH) 
 - 젖산(CH3CHOHCOOH), 알콜(C2H5OH) 
 - CO2+H2 전환 
 ◦ 관여세균 
 - Clostridium, dissolvens, Clostridium 
 2) 단백질은 
 ◦ 가수분해되어 아미노산 생성 
 ◦ 아미노산은 다시 초산, 젖산, 암모니아, 
 수소, 개미산, CO2등으로 전환 
 - 관여세균 Pseudomonas, Proteus, Bacillus등 
 - 대사과정 : CH2NH2COOH + 2H+ + H2O → CH3COOH + NH3 + H2O 
 3) 지질(중성지방)은 
 ◦ 글리세롤과 고급지방산(탄소수 12~18개)을 거쳐 초산까지 생성 
 ◦ 대사과정 : 
 
 나. 메탄생성 단계 
 1) 산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유기산은 
 ◦ 절대혐기성균인 메탄생성균에 의해 CO2와 CH4로 최종 전환 
 2) 메탄생성균은 
 ◦ 60~80%는 초산을 직접 기질로 하여 메탄을 생성 
 ◦ 일부는 수소를 이용하여 CO2를 환원하여 메탄을 생성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