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사상
리포트 > 인문/어학
유식사상
한글
2011.03.11
17페이지
1. 유식사상.hwp
2. 유식사상.pdf
유식사상


唯識思想

차 례

1. 唯識의 의미
2. 唯識無境의 논증
3. 인식의 구조
4. 아뢰야식
5. 말라식
6. 了別識
7. 유식학의 목적
#. 참고문헌

1. 唯識의 의미

唯識은 싼쓰끄리뜨어로 vijñapti-mâtra이다. 이 용어가 가장 먼저 사용된 곳은 『解深密經』‘分別瑜伽品’인데,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미륵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모든 毘鉢舍那三摩地 중에서의 影像은 이 마음과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그 둘은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그 영상은 오직 識이기 때문이다. 선남자야, 식의 대상(所緣)은 오직 식이 顯現한 것이다.1)1). 『解深密經』 권3. (新修藏 16, p.698上下)

....
인문, 어학
唯識思想 중국의 화엄종과 그 사상
포도씨유식품의 시장동향 포도씨유식품의 수요예측
[김유식]성학십도 [아동양육] 아동양육의 목표, 건강한 발달을 돕..
관점을 디자인하라 독후감 감상문 서평 박용후 시의 세계, 문학의 세계
영화에서의_인물의_성격과_심리묘사와_사건설정 여성학레포트
농촌개발 사상 아리랑을 읽고
면장선거연설문(삶의지식을바탕으로발전시킬것.. Muralist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
(독후감) 통섭의식탁(최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