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근대 변혁운동론의 전개 |  
        |  |  
        |  |  
        |  |  
        | 1. 근대 변혁운동론의 전개 
 독립운동 : 독립(자주성)에 주안점
 민족운동 = 변혁운동 : 독립운동의 상위개념으로 근대국가(반봉건)를 이루며 독립
 
 (1) 부르조아 민족운동
 ․개화자강론 : 실학사상의 내재적 계승 + 외래사조(사회진화론)
 ⇒ 근대 자본주의 국가 건설
 ※ 사회진화론 (자연진화론 : 하등→고등)
 ․국가간의 생존경쟁을 합리화
 ⇒ 제국주의 지배질서를 만국공법
 ․제국주의 자기 이념화
 ․자국사나 문화에 대한 폄하적인 인식태도 : 자본주의 문화나 체제를 승배
 ⇒ 침략을 문화적인 시혜
 ․대외인식 : 제국주의 시작 → 민중에 대한 멸시적인 시각(피지배층으로 인식)
 ․전체적인 변혁운동으서 한계 : 고립 분신성
 ․개항운동→개화정책→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국채보상운동과 자강운동→3.1운동 →실력양성운동
 ※ 제국주의하의 문화운동 한계
 탄압의 강도에 반베례. 근본적인 방향성을 상실
 ․민족운동전선에서 이탈 : 친일, 부일파로 전락
 (2) 위정척사운동
 ․위정척사론 : 북벌론의 정신적 자주 + 서구세력 동진에 대한 위기의식
 →성리학적 지배질서의 재구축
 ※ 시대인식 : 반역사성(세계에 대한 인식 부족)
 ․자기 문화나 역사에 대한 자긍심 고취 ⇒小中華主義는 배격
 ․외래문화에 대한 자기의식의 보존 : 민족문화의 한 분류
 ․개항 반대 - 영남 만인소- 갑오의래-의병전쟁 - 3.1운동
 ∣
 -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
 
 (3) 민중운동
 ․민중운동론 : 조선후기 농민운동의 이념 +민간 시앙적인 요소(후천개벽)
 → 상시 상황논리에서 이념을 추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