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리포트 > 교육학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한글
2011.03.10
7페이지
1.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2.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여 인 천(부산교육연구원 교육연구관)

Ⅰ. 새 학교문화 창조를 위한 전제 조건

새로운 학교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는 여러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내용을 차근차근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정책당국에서 최근 발표한 내용이 개혁의 차원을 넘어 혁명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지만, 학교문화를 문제삼고 나온 것은 매력적이긴 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한다. 그러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재춘이 말한 것 처럼 문화를 바꾼다는 것이 쉽지 많은 않을 것이라는 의견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는 문화를 바꾼다는 것은 마치 한국사람들이 밥과 김치 대신 햄버거와 치즈를 주식으로 바꾸는 것에 비유한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교육의 주체는 수용자인 학생이나 학부모가 아니고 공급자인 교원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1. 학부모, 교직원, 학생, 정책 당국이 동반자 관계의 정립이 선행된 후 새 학교문화를 창조하자는 합의가 선행조건이다.

2. 학부모의 의식개혁

교육정책의 신뢰 (홍보와 정책의 일관성)

학교의 신뢰 (교직원의 의식개혁에서 출발)

교직원의 신뢰 (행동으로 실천)

자율적인 새 학교문화 창조에 동참

3. 교직원의 의식개혁

소명의식

교직의 안정

새학교 문화 창조의 주도적 역할

의식개혁에 대한 열정 (교직 사회의 건강)

4. 정책 당국의 새 학교문화의 창조의 방향과 내용의 구체적인 제시가 필요
5. 교원의 전문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
6. 전국민의 동참으로 새 학교문화 창조의 완성을 기대
7. 수요자 중심 교육을 위한 현장 여론 수렴이 성패를 좌우한다.
....
교육학
새 학교문화 창조의 의미 새학교문화 창조 계획 레포트
교육과정과 수행평가의 적용 21세기 한국교육을 위한 교원인사정책 개혁방안
수업 방법의 다양화를 위한 교수 학습 과정 운영 사교육비 절감 방안
[축제 사업계획서]청양중학교 청솔축제계획 교육 문화의 재정립
학교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비밀보장을 위해 고려.. [교육행정학] 21세기 교육을 위한 학교장상
[독후감]도도새와 카바리아 나무를 읽고 도도새와 카바리아 나무를 읽고
도도새와 카바리아 나무를 읽고 도도새와 카바리아 나무를 읽고
 
교육문제의 개혁 방향, 해결방안
[청소년의 여가문화와 언어문..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원인 ..
유치원 어린이집 실습교사 오..
청소년지도 프로그램의 유형 ..
[심리학개론] 피아제의 인지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