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교육학개론 |  
        |  |  
        |  |  
        |  |  
        | 교육학개론 
 교육관
 구분
 전통적 교육관
 근대적 교육관
 현대적 교육관
 대표학자
 Herbart
 Dewey
 Bruner
 교육철학
 전통적 철학(본질주의 입장)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대두배경
 전통
 John Dewey의 출현
 Sputnik호 사건
 교 육
 교사중심
 아동중심
 아동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교사 중심
 교육목적
 장래 생활의 준비
 현실 생활의 적응
 장래와 현실생활 준비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Scope
 문화유산
 생활경험
 구조화된 지식
 Sequence
 논리적
 심리적
 절충적
 학습지도
 수용학습
 문제해결학습, 구안학습
 발견학습
 교육평가
 상대평가 중시
 절대평가 중시
 절대평가 중시
 교수방법
 일제수업
 개별학습
 개별학습
 생활지도
 지시적 상담의 입장
 비지시적 상담의 입장
 절충적 입장
 교육평가
 상대평가
 절대평가
 절충적 평가
 교육제도
 복선제
 단선제
 단선제
 교육행정
 지도․감독적 행정
 지원․봉사적 행정
 지원․봉사적 행정
 < 전통적․근대적․현대적 교육관 비교 >
 
 전통적 교육관 : 이는 Dewey, J. 출현 이전의 교육 철학으로서 Herbart가 가장 대표적인 학자이다. 전통적 교육관은 교사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아동의 자발성이라든지 흥미를 존중할 수 없다. 따라서 교육과정도 사전에 미리 결정되어지며 교사는 지적인 측면만 강조한다.
 근대적 교육관 : 이는 Dewey, J. 가 전통적인 교육에 반대하여 진보주의를 제창하고 난 이후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대두까지의 교육관을 의미한다. 진보주의는 교사중심이 아니라 아동중심이므로 아동의 자발성을 중시하며 능력별 학습, 개별학습을 중시한다. 근대적 교육관으로서의 교육과정은 사전에 결정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