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사회조사의 표본추출방법
      
	 | 
       
      
         | 
       
      
      
         | 
       
      
          | 
       
      
        사회조사의 표본추출방법 
 
Ⅰ. 표본추출의 의의와 장단점 
1. 의의 
연구대상 전체로부터 선택된 일부가 표본(sample)이며 표본을 선택하는 과정을 표본추출(sampling)이라고 한다. 일부 표본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경우에도 수집한 자료의 처리결과는 모집단을 대상으로 일반화할 수 있어야 하므로 표본추출에서의 핵심은 표본의 특성이 전체대상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지의 여부, 즉 표본의 대표성이다. 
 
2. 장점 
1) 신속성과 경제성 : 다량의 정보 확보 
2) 세밀한 조사가능 
3) 전수조사가 불가능할 경우 
① 모집단이 무한히 많은 경우 
② 모집단의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 
③ 파괴적인 조사를 해야 할 경우(통조림위생조사, 자동차안전조사, 전구수명조사) 
4) 정확도의 증가 → 전수조사보다 더 정확한 자료 
① 비표본오차의 감소 
ⓐ 표본오차 : 표본의 특성치에서 모집단의 특성치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서 표본조사에서 발생 
ⓑ 비표본오차 : 조사과정과 집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표본조사는 자료의 양이 적고 조사자가 숙련되었으므로 조사과정을 잘 통제하여 비표본오차를 줄일 수 있으나 전수조사의 경우 조사자와 자료의 양이 많아 조사와 집계과정에서의 비표본오차가 크다. 따라서 표본이 모집단의 대표성을 갖도록 추출된다면 소수의 대상에 대하여 측정을 하여 표본오차를 줄여 전체적인 측정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② 조사대상의 오염 
응답자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제에 대하여 조사를 하고 피조사자에게 그 주제에 대해 다시 조사할 경우 선행조사가 그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되어 조사대상오염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표본조사를 함으로써 오염되지 않은 피조사자 확보할 수 있다. 
 
3. 단점 
① 대표성 있는 표본선정의 어려움 
② 모집단 자체가 작은 경우에는 표본조사가 무의미 
③ 복잡한 표본설계를 요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들고 오차가 많이 발생 
 
Ⅱ. 표본추출의 과정(표본설계과정) 
1. 모집단의 확정 
2. 표본프레임의 결정 
3.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