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  |  
        |  |  
        |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
 1. 주요개념정리
 1) 마음의 지형학적 모형
 ▶ 무의식 :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나 확인할 수 없는 영역에 자리함
 ▶ 전의식 :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 놓여 있으며, 주의집중을 통해 의식이 될 수 있는 경험
 ▶ 의식 : 개인이 현재 의식하고 있는 모든 것으로 제한적이며 일시적인 특성이 있음
 2) 마음의 구조적 모형
 ▶ 원초아(id)
 - 성격의 원형으로 완전히 무의식적이고 본능적
 - 일차적 사고과정 : 객관적 현실보다는 본능적 충동을 만족시키려는 쾌락원칙에 중점
 ▶ 자아(ego)
 - 현실에 맞도록 원초아와 초자아를 조정하는 역할 담당
 - 이차적 사고과정 : 현실원칙에 중점, 사회에서 용납되는 방법으로 긴장해소 ․만족추구
 ▶ 초자아(superego)
 - 성격의 도덕적 측면, 쾌락보다 완성․현실보다 이상을 강조
 - 양심 : 처벌과 부정적인 비판에 의해 형성
 - 자아이상 : 칭찬과 긍정적인 인정에 의해 형성
 
 2. 심리성적 발달단계
 ․각 단계별로 그 특정부위에서 성적에너지인 리비도의 만족을 추구
 ․특정 발달단계의 만족정도가 지나치거나 부족할 땐 고착이 이루
 1) 구순기(출생~1세)
 2) 항문기(1세,1세 반~3세)
 3) 남근기(3세~6세)
 4) 잠복기(6세~12,13세)
 5) 생식기(사춘기~성인기 이전)
 
 Ⅱ.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이론
 1. 방어기제의 개념 및 특성
 1) 자아가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적 책략을 나타냄
 2) 무의식적으로 채택되며, 한번에 한 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동원
 3) 적절한 방어기제의 사용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적응을 유도하기도 함
 
 2. 방어기제의 유형
 1) 억압
 ․일차적 방어기제로 가장 흔하게 사용함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무의식적으로 추방시키는 능동적이고, 무의식적 과정
 ․ex.)기억상실
 2) 반동형성
 ․무의식 속의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반대의 감정으로 대치시켜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