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2006년개정세법_연금,사업,기타소득 |  
        |  |  
        |  |  
        |  |  
        | 2006 년 개정 세법_연금, 사업, 기타소득 
 1. 퇴직연금 및 퇴직일시금 수령시 소득공제 한도 조정(소득세법 제47의 2, 제48조)
 종전
 개정
 연금수령시 일정액을 연금소득에서 공제
 - 과표구간별 공제금액
 250만원 이하 : 전액 공제
 250~500만원 : 250만원 + 250만원 초과금액의 40%
 500~900만원 : 350만원 + 500만원 초과금액의 20%
 900만원 초과 : 430만원 + 900만원 초과금액의 10%
 - 공제한도 : 600만원
 퇴직금 수령시 퇴직급여액의 50%를 소득공제
 연금수령시 소득공제금액 확대
 - 과표구간별 공제금액
 350만원이하 : 전액 공제
 350~700만원 : 350만원 + 350만원 초과금액의 40%
 700~1,400만원 : 490만원 + 700만원 초과금액의 20%
 1400만원 초과 : 630만원 + 1400만원 초과금액의 10%
 - 공제한도 : 900만원
 퇴직금 수령시 퇴직급여액의 45%를 소득공제
 
 ※ 2006.1.1. 이후 최초로 발생하는 소득분부터 적용
 
 2. 퇴직연금 수령시 연금소득 과세방법(소득세법 시행령 제42조의2 제4항) 종전
 개정
 <신설>
 퇴직연금 수령시 과세대상 연금소득*은 연금 수령액에서 「본인 불입분중 소득공제 초과분」을 제외한 금액으로 함
 * 현행 연금저축과 동일한 과세방식
 ** 연금지급개시일 현재의 원리금 합계액
 일시금으로 수령시 퇴직소득으로 과세하되 연금과 동일한 계산방법으로 과세
 
 ※ 2006.1.1. 이후 발생하는 소득분부터 적용
 
 3. 퇴직연금 중도 인출시 과세방법(소득세법 시행령 제42조의 2 제1항)
 종전
 개정
 <신설>
 연금불입 도중에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허용하는 사유*로 중도인출시에는 인출금액을 퇴직소득으로 과세
 * 「가입자 주택구입」,「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의 6월 이상의 요양」,「천재 지변의 발생」등
 
 ※ 2006.1.1. 이후 발생하는 소득분부터 적용
 
 4. 퇴직연금 이전시 과세 방법(소득세법 시행령 제42조의2 제5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