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과제 99-1-6-1
시도별 교육과정 지역화자료 개발 경향 분석 연구
199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 연구는 1999년도 교육부 정책 연구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정책연구과제 99-1-6-1
시도별 교육과정 지역화자료 개발 경향 분석 연구
연구책임자 : 최석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 구 자 : 이명희(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선미(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 구 조 원 : 이명선(한국교육과정평가원)
1..
입 사 지 원 서
사 진 부 착
(3.5㎝ × 4.5㎝)
성 명
한글
한자
영문
주민등록번호
-
연 령
만 세
현 주 소
(우편번호 : - )
연 락 처
자택
HP
E- Mail
학력사항
기 간
학 교 명
학 과
소재지
평균학점
. . ~ . .
고등학교
/
. . ~ . .
전문대학
/
. . ~ . .
대학교
/
. . ~ . .
....
사업계획서사업명 : 유료 인터넷 낙찰마트
2000년 3월
㈜ 주식회사***
1단계 : 상품권 적용
2단계 : 소매점 적용
목 차
1. 사 업 개 요
2. 시 장 현 황
3. 마 케 팅 전 략
4. 사 업 전 망
5. 추 진 일 정
6. 조 직 운 영 계 획
7. 투 자 유 치
8. 투 자 수 익 가 치
1. 사 업 개 요
....
동양의 역사와 문화
‘영화 대병소장을 보고’
시대적 배경
이 영화의 시대적 배경은 기원전 227년 춘추전국시대로 진나라 통일을 할 무렵 정확히는 전국 시대에 해당 된다 양나라와 위나라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진나라가 통일 할 때 까지의 전쟁에 대한 비극을 희극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BC 770년, 주(周)왕조가 뤄양[洛陽]으로 천도하기 이전의 시대를 서주시대, 이후를 동주시대라고 한다. 동주시대는..
『문화로 배우는 이야기 일본어』에 나오는 일본 속담
[諺(ことわざ) : 속담]
一。 論語(ろんご)よみの 論語(ろんご)知(し)らず。
논어를 읽는다는 사람이 논어를 모른다.
‘소리내어 읽기는 하지만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웃음 담은 속담.
論語(ろんご) : 논어
二。 大鼓判(たいこげん)を 押(お)す。
북처럼 큰 도장으로 찍는다.
장담하다. 확실하다는 의미로 쓰임.
大鼓(たいこ) : 큰..
키다리 아저씨를 읽고
제목은 주디가 그림자의 긴 팔다리를 보고 지어준 이름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 이름에는 장님거미, 각다귀, 유령거미, 꾸정모기 등 다리가 긴 벌레라는 뜻도 있다. 작중에서도 주디가 종이 위에 이런 벌레가 앉아 있는 것을 보고 잡으려다 아저씨가 생각나 그냥 쫓아보냈다고 말하기도 한다. 작가 진 웹스터의 외할머니는 톰 소여의 모험 작가 마크 트웨인의 누나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