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租稅制度의 所得再分配 效果分析*
Ⅰ. 序論
Ⅱ. 硏究方法論 및 資料說明
Ⅲ. 脫漏所得 比率의 推定
Ⅳ. 租稅의 所得再分配 效果 및 累進度
Ⅴ. 結論
Ⅰ 序論
1996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租稅負擔率이 21%를 넘어서고 있고, 조세부담이 커지면서 조세가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더욱이 80년대 후반 이후 경제구조가 급변하면서 새로운 조세체계의 정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게 요구..
[별지 제 17 호 서식] (95. 4. 1. 개정)
조세감면신청서
처리기간
신규 : 30일
증자 : 20일
외국투자가
① 상호 또는 명칭
②국적
기술제공자
③ 상호 또는 명칭
④국적
내국투자가
⑤ 상호 또는 명칭
⑥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외국인투자내용
⑦ 하고자 하는 사업
⑧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세세분류
⑨ 투자방법
현금
원($ 상당)
자본재
원($ 상당)
⑩ 외..
韓國租稅制度의所得再分配效果分析*1)
李常英(東國大 강사)
Ⅰ.序論
Ⅱ.硏究方法論및資料說明
Ⅲ.脫漏所得比率의推定
Ⅳ.租稅의所得再分配效果및累進度
Ⅴ.結論
Ⅰ序論
1996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租稅負擔率이 21%를 넘어서고 있고, 조세부담이 커지면서 조세가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1) 더욱이 80년대 후반 이후 경제구조가 급변하면서 새로운 조세체계의 정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
Ⅰ. 序 論
1. 租稅債權의 確保
1) 總說
國家의 財政需要는 國家活動의 基礎로서 絶對的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租稅債權이 확립되어 徵收權이 발생한다 하여도 최종적으로 財産的 價額이 징수되지 않으면 租稅債權이나 租稅行政節次는 별다른 意義가 없게 된다. 이에 租稅債權은 租稅行政主體가 자신이 직접 强制執行하는 自力執行을 할 뿐 만 아니라, 최종적인 財貨의 確保를 위하여 여러 가지 制度를 ..
개별조세이론
Ⅰ. 소득세
1. 의의 및 과세체계
(1) 소득세의 의의
① 소득세는 세수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누진적인 과세를 통해 조세부담의 공평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조세이기 때문에 대부분 국가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② 그리고 소득세는 민간부문의 저축 및 노동공급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③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소득세는 직접세 중에서 가장 ..
☆국회의 재정에 관한 권한을 설명하시오
◈목차◈
Ⅰ. 국회의 권한
1. 입법에 관한 권한
2. 재정에 관한 권한
3. 대정부견제권
4. 국정에 관한 감사(監査)·조사권(調査權)
5. 중요공무원 선임권과 임명동의권
6. 국회의 내부사항에 관한 자율적 권한
Ⅱ. 조세법률주의
1. 조세법률주의의 의의와 기능
2. 조세의 의의와 기능 및 조세법의 특성
(1)조세의 의의
(2)조세의 기능
(3) 조세법의 특성
3. 조세법률..
전자상거래에 대한 조세감면의 타당성
目次
Ⅰ.서론
Ⅱ. 전자상거래와 조세제도
Ⅲ. 결론
Ⅰ.서론
21세기를 맞이하여 인류 역사상 가장 큰 대변혁은 디지털 혁명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라고 말할 수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정부․기업․개인 등 경제주체들은 정보통신기술과 정보기기 그리고 광역 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EDI(전자상거래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와 Internet 및 Intranet을 통해 새로..
조세와 노동공급…개인차원의 분석
1. 비례소득세의 효과
① 임금률이 일때 여가와 소득간의 선택에서 균형점이 a점이라고 가정
② 이제 근로소득에 대하여 세율 t의 비례소득세가 부과되면 세후임금률은 로 하락하므로 균형점이 b점으로 이동
③ 무차별곡선이 그림(a)와 같이 주어져 있다면 근로소득세 부과 이후에 노동공급이 감소하나, 무차별곡선이 그림(b)와 같은 형태이면 오히려 노동공급이 증가
④ 비례..
우리나라에서 조세범 처벌과 관련한 문제점
1. 범칙사건 조사제도 운용상의 문제점
가. 조세범칙조사대상자 선정 및 전환의 문제
조세범칙조사는 국세청 자체의 심사에 의하거나 외부로부터의 탈세정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일반세무조사과정에서 조세범칙조사로 전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현행 조세범처벌절차법은 제1조에서 모든 조세범칙행위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으므로 세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