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법학 - 헌법 전체정리 |  
        |  |  
        |  |  
        |  |  
        | [1] 합헌적법률해석 I. 헌법의 해석
 1. 의의
 (1) 헌법문제 해결을 위해 헌법규범의 객관적 의미내용을 확정하는 법인식작용
 (2) 헌법재판기관이 최종적인 유권해석권한을 갖는다.
 2. 헌법해석의 특징
 (1) 서언 : 헌법규범의 특성1)으로 인해, 헌법의 해석방법은 법률해석방법과 다르다.
 (2) 규범구조적 측면 : 해석에 의한 법보충․법형성의 여지가 크다
 (3) 해석의 기준으로, 정치적 관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4) 헌법의 최고규범성
 ① 기능적 측면 : 헌법의 통합적 기능 → ∴조화적 해석이 필요하다.
 ② 합헌적 법률해석 → *
 II. *합헌적 법률해석
 1. 의의
 (1) 소극적 의미 : 위헌으로 보이는 법률도 합헌적 해석가능성이 있으면 위헌결정을 삼가야한다는 해석의 원칙
 (2) 적극적의미
 ① 법률의 위헌적 요소를 헌법정신에 맞도록 제한 또는 보충해석 하는 것
 ② 입법권 침해의 우려가 있다.
 2. 구별되는 개념
 (1) 일반적인 법률해석과의 관계
 ① 제1설 (구별론) - 일반적 법률해석은 합헌적 법률해석의 전제가 된다.
 ② 제2설 (다수설) - 체계적 해석방법의 일종에 불과하다고 본다.
 
 (2) 규범통제와의 관계
 
 규범통제
 합헌적법률해석
 취지
 헌법의 효력유지
 의회의 입법권존중
 근거
 별도의 명시적 근거규정이 필요하다. - ∵의회입법원칙에 대한 예외
 헌법의 최고규범성의 당연한 귀결
 해석원칙
 저촉원칙(무효화)
 해석원칙(조화유도)
 
 3. 이론적근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