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Reynolds 실험 
 1.이론적 배경
 RENOLDS APPARATUS
 어떤 유체(fluid)가 관(pipe)이나 도관(conduit)을 통해서 흐를 때 여러 가지 조건으로 흐르게 되나 흐름은 역시 두 가지 모양으로 흐르게 된다. 즉 층류(Laminar Flow)와 난류(Turbulent Flow)의 흐름인데 이것은 관의 직경 D와 유체의 속도 v,밀도  및 점도  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데 수를 레이놀드수()라하며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Reynolds Number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무차원군으로서
 이의 의미는
 
 : 튜브 지름 ( m, ft )
 : 액체의 점도( lb/ft-s, Pa-s )
 : 액체의 밀도 ( kg/, lb/ )
 : 액체의 평균 유속 ( m/s, ft/s )
 
 여기에서 가 2100이하일 때의 흐름을 층류영역, 4000이상일 때의 흐름을 난류영역, 2100 - 4000사이를 임계영역으로 구분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