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성 식품 
 식물성 식품 : 곡류, 두류, 서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와 버섯류로 분류하며, 탄수화물, 무 기질, 비타민과 식이 섬유가 풍부
 곡류, 서류 –탄수화물의 급원
 두류 – 단백질의 급원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버섯류 – 무기질과 비타민의 급원
 
 ➊ 곡류
 곡류 : 미곡, 맥류, 잡곡을 가리키며, 두류와 함께 예부터 중요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바깥쪽부터 왕겨(부피), 쌀겨(과피, 종피), 호분층, 배아, 배유로 구성
 단백질 10%내외, 지질 2% 내외, 탄수화물 70% 내외, 무기질 1~3% 함유
 *미곡 – 쌀, 맥류 – 대맥인 보리와 소맥인 밀, 잡곡 – 옥수수, 귀리, 메밀, 조, 수수 등
 
 곡류의 특성
 - 높은 탄수화물 함량을 지닌 에너지원
 - 수분 함량이 낮아 저장·수송·유통이 편리
 - 사료로 이용되면 동물성 단백질원을 제공
 -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1차 가공으로 주식 이용이 가능
 
 1. 쌀
 벼 : 열대나 아열대지역에서 재배되는 일년생 초본식물
 쌀 : 현미의 쌀겨층과 호분층을 제거한 백미 (오른쪽 그림 참고)
 - 현미(100%)로부터 쌀겨층을 제거한 정도에 따라 주조미(70%),
 백미(92%), 배아미(93%), 7분도미(94%), 5분도미(96%)로 나눈다.
 - 5분도미 : 백미에 비해 반 정도만 도정
 7분도미 : 배아가 70% 정도 남음
 백미 : 배아도 겨층도 모두 제거 [ 쌀의 구조 ]
 - 품종은 일본형 쌀과 인도형 쌀로 나뉜다.
 
 품종
 사진
 소비
 쌀알의 모양
 쌀알의 점성
 일본형 쌀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소비
 굵고 둥긂
 점성이 커서 찰진 맛을 줌
 인도형 쌀
 
 동남아시아, 인도,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소비
 가늘고 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