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문법교육,의사소통능력,국어 문법의 교육적 가치,긍정의 입장(통합론과 포괄론),부정의 입장(독자론과 무용론) |  
        |  |  
        |  |  
        |  |  
        | 문법교육의 목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 목 차
 1. 기존에 제기된 문법 교육의 목표
 - 국가와 민족의 발전의 의미
 - 학습자들의 사고능력의 신장
 - 표현과 이해 기능의 증진
 
 2. 국어 문법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네 가지 관점
 - 긍정의 입장(통합론과 포괄론)
 - 부정의 입장(독자론과 무용론)
 
 3. 교육과정상의 문법교육의 목표와 문제점
 - 교육과정상의 문법교육의 목표
 - 실제 문법교육의 문제점
 
 4. 개선방향
 1. 기존에 제기된 문법 교육의 목표
 문법교육의 의미를
 국가와 민족의 발전에서 찾으려는 입장
 
 권재일 : 문법을 배우고 익힘으로써 국어와 조국에 대한
 사랑의 정신을 키울 수 있음
 이정택 : 식민지 시대가 아닌 현대에는 맞지 않는 견해로 봄
 ⇒ 문법교육은 현대인의 ‘실용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함
 문법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사고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입장
 
 박덕유 : 국어문법의 규칙과 체계자체가 논리적.
 ∴ 학습을 통해 국어문법에 담긴 논리적 사고를 배울 수 있음.
 이성영 : 문법연구과정을 과정적으로 교수-학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사고력 향상 가능
 이정택 : 사고력 신장은 모든 교과목의 공통목표이므로
 특정과목의 고유목표가 될 수 없음.
 1. 기존에 제기된 문법 교육의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