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북한의 외교 방향 변화,핵 위기,북한 외교정책 |  
        |  |  
        |  |  
        |  |  
        | 북한의 외교 방향 변화, 그리고 핵 위기
 김일성 정권 수립 이후부터의 북한 외교방향 변화
 
 제 1, 2차 핵위기
 
 1, 2차 핵위기를 통한 북한 외교의 평가
 목 차
 외교방향 변화 - [정권 수립 이후 1948~]
 소련과 중국에 의지하는 ‘진영외교’
 1948.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전 조선의 공산화
 
 한국전쟁 : 북한의 소련과 중국에 대한 의지 점차 증대 서방국에 대한 적대외교
 외교방향 변화 - [휴전 후 1950 중반~]
 ‘다변외교’와‘자주외교’
 1955년 반둥회의 : 평화5원칙
 1956년, 김일성 ‘자주권의 상호존중과 평등권’ 주장
 흐루시초프 : 서방진영과의 평화공존정책
 1962 쿠바미사일 위기 : 중 ↑
 중국과의 갈등 : 소 ↑
 외교방향 변화 - [데탕트 1970초반~]
 대서방과의 관계개선 외교
 고려연방제
 미국에 대한 ‘인민외교’
 비동맹외교에 적극적
 But, 경제난 조짐
 외교방향 변화 - [탈냉전 1989~]
 ‘개방적 외교’와‘벼랑끝 외교’
 1989년 냉전종식
 미국, 일본, 남한과의 회담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핵카드를 통한 외교 시작
 제 1차 북핵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