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현황과전망] 북한 핵 문제의 현황과 전망 |  
        |  |  
        |  |  
        |  |  
        | 북한 핵 문제의 현황과 전망 
 최근 북한의 핵 문제가 남북간의 문제를 넘어서 국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특히 미. 북 간에 첨예한 대립상태로 치달을 위기에 있다. 미국은 이라크전쟁을 종결하고 이제 한반도의 북한 핵 문제를 협상테이블에 올려놓았다. 지난 4월 23~25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미국-중국-북한 3자 회담에서 북한 핵의 평화적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 것으로 외신은 평가하고는 있으나 앞으로 점차 그 국면이 위기상황으로 급진전될 가능성이 크다.
 
 1차 북핵 위기(1994년)와 금번의 2차 북핵 위기(2002년10월 핵 개발 시인)와의 상이한 점은 아래와 같다.
 
 1. 미 행정부의 교체 - 온건주의 클린턴 정부(1차시기)와 강경한 부시정부(2차)
 2. 9.11사태 이후 국제적 테러에 대한 급박한 경계심의 상승(대북 제재 가능성 농도증가)
 3. 북한의 핵 개발 및 보유의 공개적인 시인(1차 시기에는 부인)
 4. 북한의 신뢰성 추락과 북한정권의 유연성 부족(1차시기 김일성과 대비)
 5. 북한 핵의 형태 변화 -1차: 플로토늄 재처리에 국한, 2차: 우라늄 농축
 * 플로토늄 : 핵실험이 반드시 필요, 농축우라늄 : 핵실험 과정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
 6. 한미간의 갈등 고조와 견해차이 심각함 - 1차시기에 비해 월등히 악화
 ....
 |  
        |  |  
        |  |  
        |  |  
        |  |  
        | 
			                
            
            |  | 세계_핵_문제 |  | 북한 미사일의 역사, 특징, 경과, 이란 핵 개발.. |              
            
            |  | 북한의핵문제와남북관계전망 |  | [현황과전망] 한국에서의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 |              
            
            |  | 한국과 미국의 대외관계, 전술 핵 배치, 역사, .. |  | 이란 핵 문제 배경, 경과, 시설 현황, 의혹, 이.. |              
            
            |  | 핵문제 |  | 북핵문제 연구레포트 - 북한 핵개발 의도 및 북.. |              
            
            |  | 북한_핵_문제_해결에_있어_가장_중요한_요소와_.. |  | [현황과전망 연구보고서] 북한농업의 현황 및  .. |              
            
            |  | 동북아에서의 핵 비확산의 문제 |  | 북한의 핵문제와 남북관계 전망 |              
            
            |  | 한반도에서 북한 핵 문제의 본질 |  | [북한핵문제]북핵문제와6자회담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