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teoarthritis와 Rheumatoid Arthritis의 차이와 치료] 
 ◆ Osteoarthritis : 퇴행성 골 관절염
 
 ▶ 병태생리
 - 관절연골에 처음 발생하며 후에 2차적으로 연조직의 변화가 옴
 - 점진적인 연골의 파열로 인해 관절 표면이 얇아지고 궤양이 생김
 - 관절의 염증을 초래하고 혈류량의 증가와 연골 과증식을 초래
 - 새로운 연골과 뼈의 형성으로 뼈의 크기와 모양에 변화를 가져옴
 - 일반적으로 50~90대의 성인에게 나타나며 남녀 비율은 같음
 - 원인불명이나 노화와 비만이 유발요인이며 과거의 손상이 2차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
 
 ▶ 발생 단계
 
 ▶ 퇴행성 관절질환의 임상증상
 - 통증 : 체중부하 시 악화되고 안정을 취하면 완화되며, 감각이상 동반 가능
 - 종창 및 관절 종대
 : 염증성 삼출물이나 혈액이 관절 피막으로 들어가 혈액을 증가시 키거나 골증식체의 파편이 관절강 안으로 들어감
 - ROM 감소 : 파괴된 연골의 양에 따라 다름
 - 근육 위축 : 불용, 관절 불안정, 기형에 의함
 - 마찰음 : 움직일 때 나타님
 - 관절강직 : 아침이나 장시간 동안의 안정, 사용하지 않았을
 때 악화됨
 
 ▶ 관절의 특징적인 변화 또는 증상
 - Heberdin s needs : 손가락 원위부 지절간 관절의 배면에 발생하는 골 융기
 - Bouchard s nodes : 손가락의 근위부 지절간 관절에 발생하는 골 융기
 - Coxarthrosis(퇴행성 고관절 질환) : 체중부하시 고관절의 통증, 서혜부와 무릎의 중앙
 으로 진행되는 통증과 ROM의 제한이 따음
 - 무릎 이환 : 내번, 외번, 굴곡기형, 마찰음, ROM 제한
 
 △ Heberdin s needs △ Bouchard s nodes
 
 ▶ 예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