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계측 및 신호 처리] 미분기, 적분기 결과 |  
        |  |  
        |  |  
        |  |  
        | [계측 및 신호 처리] 미분기, 적분기 결과 
 목 차
 
 1. 실험 목적
 2. 기본 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실험 이론값
 7. 고찰
 
 1. 실험 목적
 
 OP-Amp를 이용한 미분기 적분기 회로를 이해한다.
 미분기 적분기의 입력과 출력 동작을 측정한다
 미분기 적분기 회로에서 증폭도를 이론적으로 해석해 내는 방법을 알아본다.
 
 2. 기본 이론
 
 적분기
 
 • 입력신호의 적분값에 비례하여 축력을 내는 OP-AMP 회로.
 • 미분기에서 콘텐서(C)와 저항(R)을 맞바꾼 형태.
 • 입력이 구형파형일 때, 출력은 삼각파형.
 • 저항 R에 흐르는 i(t)는 가상단락에 의해 아래의 식 성립.
 
 전류는 모두 C를 통해 흐름.
 
 • Vo(0)는 콘덴서(C)의 초기 전압, 편의상 Vo(0)=0으로 가정.
 
 Lossy – integrator circuit
 
 교류 적분기 : 입력 오프셋 전압과 입력 오프셋 전류의 영향으로 인해 출력 전압이 포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직류 성분에 대해 이득을 제한
 
 1)
 
 2)
 
 미분기
 
 • 출력이 입력신호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출력을 내는OP-AMP 회로.
 • 반전 증폭기에서 R1대신 C를 사용한 것으로 입력 신호를 미분.
 • 입력이 삼각파일 때, 출력은 구형파.
 • 전류 i(t)는 가상 단락의 단락성질에 의해 아래의 식 성립.
 
 • 가상단락의 개방 성질에 의해 아래의 식 성립.
 
 Practical differentiator
 
 1)
 
 2)
 
 3. 실험기구
 
 NI Elvis
 
 4. 실험 과정
 
 적분기 실험
 Step 1 : 오실로스코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