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의 특징(p1)
 생활보장급여의 시행(p1~6)
 자활후견기간과 자활공동체(p6~7)
 생활보장의 실시주체(p7~8)
 급여의 실시(p8~10)
 보장시설(p10)
 수급자의 권리와 의무(p8~11)
 보장비용(p11~12)
 문제점과 개선방향(p12)
 참고문헌(p13)
 
 국민기초생활제도의 특징
 ● 배경
 ○ 1997년 이후 IMF 구제금융 사태와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으로 근로능력이 있는 빈민이 급증하고, 자살자와
 노숙자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사회문제가 확대되어 근로능력이 있는 빈민에 대한 최저생계비 지원책이 절실히
 필요했는데, 노인이나 장애인 등 근로무능력자에 대한 단순생계지원책에 그쳤던 기존의 생활보호제로서는 사회
 안전망으로서 근본적 한계를 보였던 것
 ○ 1999년 9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공포 / 2000년 10월부터 시행 ➡ 기존의 생활보호법의 완전한 대체
 ● 목적
 ○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필요한 급여를 행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조성하는 것
 ⇨ 보장의 원리, 국가책임의 원리,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무차별평등의 원리, 보충성의 원리 등 공공부조의
 원리를 구체화
 ○ 공공부조법인 생활보호법을 대체하는 획기적인 법으로서 보장 대상자의 근로유인방안, 최저생계비 이하 국민의
 지원 조건부 보장, 시민의 민주적 참여 등 중요한 내용 규정
 ● 의의
 ○ 근로능력에 관계없이 빈곤선 이하의 모든 저소득층에게 최저생계비 이상 수준의 생활을 국가가 보장
 ○ 근로능력자에 대해서는 빈곤에서 스스로 탈출하도록 체계적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생산적 복지를 구현
 ○ 현금지급과 물품지급의 지원
 ○ 기초생활보장제도와 생활보호제도와의 차이점
 
 구 분
 기초생활보장제도
 생활보호제도
 국민의 권리
 • 최저생계 보장이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