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 level별 증상 
 1. 척수 손상 정도 [미국척수손상학회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척도]
 A. 완전 손상 complete - 손상 척수 이하 부위의 운동감각 신경계의 완전한 손상
 B. 감각만 있음 sensory only - 운동신경계는 완전한 마비이며 손상척수 이하 부위에 감각신경기능만 유지된 손상
 C. 운동기능은 있으나 쓰기 어려움 motor useless - 운동기능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손상
 D. 운동기능이 사용가능 motor useful - 손상척수 이하 부위의 운동 기능도 유지된 손상
 E. 회복 recovery - 신경학적 증상 없음(위약, 감각 소실, 괄약근의 기능장애는 없으나 비정상 반사는 있을 수 있음)
 위의 척도 중 A의 경우 완전 손상이라고 하고, 나머지의 경우 불완전 손상이라고 하나, 실제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할 수 있는 것은 D 또는 E 정도이다.
 
 2. 척수손상 부위에 따른 기능장애
 
 척수손상
 수준
 척수신경과
 연결된 근육
 근육의 역할
 가능한 목표
 C3-4
 목(SCM)
 어깨(trapezius)
 횡경막
 목을 대부분 조절한다.
 어깨를 으쓱한다.
 물을 마시고, 입이나 턱으로 전동휠체어를 조절한다.
 C5
 어깨(deltoid)
 팔(biceps)
 전박
 손목
 목을 정상적으로 조절함
 어깨는 거의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전박을 회전한다.
 어깨는 잘 조절한다.
 상의를 벗는다(시간이 걸림)
 보조기를 사용하여 스스로 음식을 먹는다
 머리를 빗고 칫솔질과 세수를 한다
 상의는 잘 입고, 하의를 입는데 시간이 걸린다.
 C6
 biceps
 수근신전근
 (ECRL, ECRB)
 손목을 구부린다.
 손을 뒤집는다.
 몸통 조절능력이 약함.
 침대에서 스스로 돌아누울 수 있다
 바퀴손잡이를 잡고 휠체어를 민다.
 보조기를 사용하여 스스로 음식을 먹는다.
 완전 혹은 약간의 보조로 휠체어에서 침대, 자동차, 화장실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