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물리치료] 정상보행과 이상보행에 대해서 |  
        |  |  
        |  |  
        |  |  
        | 정상보행과 이상보행 정상보행이란
 Gait란 walking 모양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말
 Swing phase와 stance를 교대로 하는 양하지의 율동적인 운동으로 신체를한 지점 에서 다른 지점으로 옮겨가는 행위
 한쪽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부터 같은 발 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
 한 보행주기에 두 stance phase와 두 swing phase로 구성
 입각기(Stance phase)
 한쪽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시기부터 동측 발가락이 지면을 떠나는 시기 까지
 보행주기의 60%를 차지
 Heel strike
 Hip : 30 of flexion
 Knee : full extension
 Ankle : neutral position
 Foot flat (loading response)
 Hip : 30 flexion
 Knee : 0-15 flexion
 Ankle : 0-15 plantarflexion
 작용하는 근육
 Heel strike - foot flat
 Gluteus maximus hamstring concentric contraction
 Quadriceps muscle eccentric contraction
 Dorsiflexor eccentric contraction
 Hip abductor muscle lateral stability 제공
 Mid stance
 Hip : 30-5 flexion
 Knee : 15-5 flexion
 Ankle : 15 plantarflexion
 to 5 doriflexion
 Foot flat - mid stance
 Gluteus maximus concentric contraction
 Quadriceps concentric contraction
 Plantar flexor tibia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eccentric contraction
 Heel off(terminal stanc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