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러한 행동 변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 중 하나가 '조작적 조건화'(operantconditioning)이다.
조작적 조건화는 유기체가 자발적으로 한 행동에 대해 특정한 결과(강화 또는 처벌)가 주어질 때, 그 행동의 미래 발생 가능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결과 (자극): 행동 이후에 주어지는 강화 혹은 처벌
강화(reinforcement) : 특정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자극
처벌(punishment) : 특정 행동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는 자극
|
|
|
 |
조작적 조건화는 유기체가 자발적으로 한 행동에 대해 특정한 결과(강화 또는 처벌)가 주어질 때, 그 행동의 미래 발생 가능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때 '조작적'이라는 용어는 환경을 '조작' 함으로써 행동의 빈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 (자극): 행동 이후에 주어지는 강화 혹은 처벌
강화(reinforcement) : 특정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자극
처벌(punishment) : 특정 행동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는 자극
정적 강화(positivereinforcement) : 바람직한 행동 후보상을 제공하여 행동을 증가시킴
정적 처벌(positivepu nishment)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후 불쾌한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을 감소시킴
결과적으로 수지는 매일 아침 인사를 더 자주 하고, 그 행동은 습관이 되었다.
아이가 원하는 자극(스티커)을 행동 이후에 받음으로써, 인사라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조작적 조건화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이며, 실생활에서 그 적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
 |
행동, 조건화, 조작, 자극, 빈도, 처벌, 결과, 강화, 인간, 바람직하다, 변화, 보상, 인사, 유도, 따르다, 스티커, 발생, 감소, 교육, 제공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