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가족을 대상으로 개입하는 경우 주요한 개입 대상을 누구로 선정할 것인가를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됩니다.가족 내에서 문제아로 낙인찍힌 아동이 실제로는 가족의 희생양이었고, 실제 문제는 아이가 문제가 있다고 한 어머니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문제를 주도해 나가는 어머니의 입장에서야 할지, 아니면 라포가 깨질 위험이 있더라도 어머니에게 문제가 있다고 개입을 해야 할지에 대해 토론하시오
어머니가 문제를 주도하며 상담에 참여했다는 점은 초기 개입에서 긍정적인 기반이 될 수 있다.
아동이 문제아로 낙인찍혔지만 실제로는 가족의 희생양이었고, 어머니가 문제의 중심일 경우, 단순히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입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
|
 |
많은 사례에서 부모 특히 어머니가 문제를 지적하며 자녀를 상담에 동반하지만, 실제 상담과정에서 아동이 가족 내 희생양 역할을 하고 있고, 주된 문제 유발자는 보호자인 어머니로 밝혀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사회복지사나 상담자는 어머니와의 라포를 유지한 채 개입을 이끌어갈 것인지, 아니면 어머니를 직접 개입 대상으로 전환하여 문제를 직면시킬 것인지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가족은 단일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되는 하나의 체계이다.가족체계 이론에 따르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문제를 가진 사람은 '지정 환자(identifiedpatient)'일 뿐이며, 진짜 변화가 필요한 구성원은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
즉, '문제의 표면'은 아동이지만 '문제의 중심'은 어머니일 수 있다.
어머니가 문제를 주도하며 상담에 참여했다는 점은 초기 개입에서 긍정적인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는 상담자와의 라포 형성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상담 동기 자체가 높다는 점에서 자발적 변화 가능성이 존재한다.
어머니가 상담과정을 주도하면서 자신의 문제는 외면한 채 아동의 교정만을 요구할 경우, 상담은 단지 '도구적 치료'에 머물게 되고 근본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가족 중 어머니와의 라포는 가정 내 의사결정권 및 감정 표현의 중심축과도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라포를 유지하면 어머니가 상담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고, 변화에 대한 수용도 높아질 수 있다. |
 |
문제, 어머니, 가족, 개입, 상담, 아동, 대상, 경우, 라포, 유지, 실제, 내, 체계, 변화, 희생양, 이다, 중요하다, 직면, 상호작용, 통해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