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신뢰도와 타당도의 개념
신뢰도는 높으나 타당도가 낮은 경우
7평가도구 개발에서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전략
|
|
|
 |
측정도구의 질을 판단하는 두 핵심 개념은 '신뢰도'와 '타당도'이다.
동형검사 신뢰도는 내용이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두 형태의 도구를 동일한 시점에 사용해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이다.
반분 신뢰도는 하나의 검사지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값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타당도는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타당도가 확보된 측정도구는 일반적으로 신뢰도도 높은 경향이 있지만, 그 반대는 항상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학생의 창의성을 측정한다고 하면서 단순한 암기 문제만 반복해서 내는 평가도구는 매번 동일한 결과를 낼 수는 있지만, 실제 창의성이라는 개념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므로 타당도는 낮다.
또 다른 예로, 어떤 심리검사가 개인의 정서를 측정한다고 하면서 오히려 단기 기억력만을 측정하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높은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타당하지 않다.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부합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신뢰도가 낮다면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서 해석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는 문항 수가 지나치게 적거나, 피 측정자의 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에도 결과는 정확할 수 있으나 반복 측정이 불안정하여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다. |
 |
신뢰, 측정, 타당도, 도, 도구, 결과, 개념, 분석, 높다, 의미, 반복, 방식, 관성, 동일하다, 평가, 통해, 요인, 경우, 낮다, 문항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