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생아 황달 간호진단] 황달 및 치료와 관련된 부모의 불안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학 전공자,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해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케이스 입니다.
최신 간호학 교과서, SCI급 논문,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임상 지침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아기가 황달이 심해져서 걱정돼요.”
“이게 그냥 황달이 아니라 병이 있는 건 아닌지 불안해요.”
“혹시 치료가 늦으면 뇌에 문제가 생길까 봐 두려워요.”
“아기가 잘 먹지 않아서 영양이 부족한 건 아닌지 걱정돼요.”
“병원에 있는 동안 아기와 떨어져 있는 게 너무 힘들어요.”
“황달이 심해지면 치료가 더 어려워진다고 해서 불안해요.”
“이게 전염되는 건 아닌지 궁금해요.”
2) 객관적 자료
- 생후 3일째부터 피부와 공막에 황달이 관찰됨.
- 총 빌리루빈 수치가 20mg/dL로 상승하여 병리적 황달로 진단됨.
- 체중이 출생 시 3.2kg에서 2.9kg로 감소하여 9.4%의 체중 감소를 보임.
- 모유 수유 중에도 4시간 이상 수유 간격이 유지됨.
- 아기는 수유 후 졸음이 많고, 흡입력이 약하여 수유 시간이 길어짐.
- 생리적 황달이 아닌 병리적 황달로 분류됨.
- 아기와 부모의 분리로 인한 스트레스 징후가 관찰됨.
- 부모는 아기의 상태와 치료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불안감을 호소함. |
|
|
|
|
 |
김민정, 이정화. "신생아 황달 관리 및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
박지현, 김현주. "신생아 황달의 진단과 치료." 아동간호학회지.
김지현, 이영희. "부모의 불안 감소를 위한 신생아 간호 중재." 한국정신건강간호학회지.
홍수미, 이지영. "신생아 황달에 대한 광선치료의 효과." 임상간호학회지.
최은영, 김혜진. "황달 증상 관찰 및 부모 교육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아동간호학회지.
송은혜, 정민경. "신생아 황달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 방안." 대한소아과학회지.
오선영, 김미경. "부모의 불안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 한국간호과학회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