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ESG 정보의 '기준'이 왜 중요한가-기준원의 역할에 주목한 이유
ESG 정보분석센터인턴으로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
ESG 기준원의 정보분석센터에서 어떤 점을 가장 배우고 싶나요?
ESG 정보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는지, 그리고 그 정보가 어떻게 정책 및 평가로 연결되는지를 배우고 싶습니다.
|
|
|
 |
단순히 ESG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해석하고 통일된 틀 안에서 공시 기준을 마련하며, 나아가 ESG 인식의 표준화를 선도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력은 기업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정보분석센터의 역할은 수집된 ESG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지표로 가공하여 평가와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만드는 일입니다.
단순히 '평가'하는 눈이 아니라, 정보를 구조화하고 가치 기준안에서 이해하려는 시선은 한국 ESG 기준원의 방향성과도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턴으로서 제가 이루고자 하는 가장 큰 목표는 'ESG 정보의 신뢰성 있는 구조화를 실무에서 경험하는 것'입니다.
공시정보의 오류탐지와 누락 항목 보완과정에서 ESG 데이터의 실질적 위험포인트를 체득하고 싶습니다.
ESG 보고서 및 뉴스정보를 정량·정성적으로 분해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기준이 현실화되는 과정을 내재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CSR은 기업의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에 초점을 둔다면, ESG는 투자판단 기준으로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수치화하고 정보로 환원시키는 구조입니다.
S', 즉 사회적 정보 항목입니다.
ESG 정보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는지, 그리고 그 정보가 어떻게 정책 및 평가로 연결되는지를 배우고 싶습니다. |
 |
esg, 정보, 기준, 기업, 사회, 데이터, 분석, 과정, 이다, 싶다, 어떻다, 정책, 해석, 생각, 분, 센터, 가치, 수집, 구조, 인턴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