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욕창 환자의 습윤환경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간호학 전공자,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해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케이스 입니다.
최신 간호학 교과서, SCI급 논문,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임상 지침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5. 간호수행
(1) (4월 2일)
환자의 욕창 부위를 사정하기 위해 피부 상태를 점검했다. 환자는 척추뼈와 엉덩이 부분에 3단계 욕창이 있는 상태였으며, 발적과 부종이 관찰되었고, 분비물은 약간의 삼출물이 있는 상태였다. 대상자는 해당 부위가 아프고 불편하다고 호소하였다. 욕창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요소(장기간 침상 안정, 체위 변경 부족 등)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피부 보호와 체위 변경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또한, 욕창 부위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적용하고, 48시간 후 교체할 계획을 세웠다. 해당 부위의 발열이 37.6℃로 측정되었으므로, 체온 상승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중재
- 체위 변경: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며, 압박 부위(발꿈치, 엉덩이)에 폼 쿠션을 추가하여 압력을 분산시켰다.
- 피부 청결 유지: 욕창 부위를 미온수로 부드럽게 닦아내고, 청결을 유지했다.
- 드레싱 교체: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적용하고, 48시간마다 교체할 예정이었다.
다음날(4월 3일), 피부 상태를 점검한 결과, 발적이 약간 줄어들고, 분비물의 양도 약간 감소했다. 체위 변경과 피부 관리 덕분에 상태가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
|
 |
김경화, 김은미, 최유경,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간호학회지
박정혜, "욕창 발생의 위험 요인과 예방 간호," 대한간호학회지
김지영, 박상희, "욕창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간호과학연구
이영희, 김정숙, "욕창 관리에서의 영양 관리의 중요성," 대한정맥경로학회지
오미경, "욕창 간호중재의 실천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최유경, "욕창 환자의 피부 회복을 위한 간호중재," 간호학회지
이은정, 박진아, "욕창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드레싱 선택," 국제간호학회지
김민지, "체위 변경이 욕창 예방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학연구
송영미, "욕창 예방을 위한 수분 섭취 관리," 대한간호학회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