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친구들과의 관계가 원만하며 친구들을 배려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문제 상황이 생겼을 때 잘 이야기하려 하지 않으며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밥을 골고루 잘 먹지만 종종 편식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교사의 요구를 잘 들어주며 친구들에게 바른 모습을 많이 보여줍니다.
어려워하는 친구들을 잘 도와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친구의 다른 의견도 배려하여 잘 들어주는 모습이 필요합니다.
친구들을 잘 챙기는 모습을 보이며 친구들을 배려하는 모습이 있습니다.
다양한 친구들과 다양한 영역에서 놀이에 잘 참여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
|
 |
어린이집에서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을 하고 있고 바깥놀이와 강당에서 놀이하는 시간에 신나게 뛰어놀고 놀이기구도 이용하여 놀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집에서는 거의 바깥놀이를 못하는데 어린이집에서라도 신나게 뛰어놀고 신체활동하고 집에 와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영역에서 관찰을 할 때 책에서 본 적이 있다며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을 또래에게 설명하는 자신감이 보입니다.가족에 대해서 물어보면 놀러간 경험 같은 것을 자세히 말하고 느낀 점도 잘 말합니다.
신체활동을 너무 좋아해서 태권도도 잘 다니고 있습니다.
체육활동을 한 날은 집에 오지마자한 활동들을 설명하고 다시 해 보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전에는 상대방의 눈을 제대로 마주치지 못하고 눈을 감고 그 상황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나, 지금은 친구와 놀이도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에 스스로 먼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문제 상황이 생겼을 때 잘 이야기하려 하지 않으며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뛰어노는 것을 좋아하는 데 위험한 행동들도 잘해서 다칠까봐 걱정이 많습니다.
발음이 정확하고 교사의 말하는 내용을 정확히 알아듣고 행동하며 언어 전달력이 좋습니다.
말의 빠르기와 발음이 정확하며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고 발표력도 좋습니다.
어른에게 이야기할 땐 반말을 사용하여 이야기할 때가 있어 존댓말로 바꿔서 말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친구들과 놀이 하도록 지도가 요구됩니다.
먼저 책을 읽고 쓰기 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친구가 언어 활동할 때 관심을 보이며 책을 읽고 느낀 점을 나누면서 자연스럽게 놀이를 통해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림 그리기는 즐겨 하지 않으며 되도록 빨리 끝내고 다른 활동으로 이동합니다.
새로운 도구나 상황 속에서 호기심이 많으며 스스로만 지고 보고 느끼며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탐색영역, 소근육 조작 활동에 흥미가 많고 자르고 붙이기 활동을 한 후 친구에게 보여주는 모습을 보입니다.
밝게 교사에게 인사를 하고 주말 지낸 이야기 및 대소그룹 활동할 때 손을 들고 발표하는 모습을 보인다.
언어영역 말하기 시간에 수수께끼 같은 자유선택 활동을 하면 친구들에게 문제를 내며 활발하게 놀이한다.
집이나 차 안에서도 음악을 조금만 크게 소리를 높이면 시끄럽다고 단호하게 말하며 안 좋은 표정을 보이고 싫어하는 표현을 합니다.
원에서의 이야기나 있었던 이야기들을 할 때에는 묻는 말을 잘 이해를 못하는지 엉뚱한 말들을 많이 하곤 합니다.
대집단 활동을 할 때씩씩 하고 큰 목소리로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으며 동화책을 읽어주면 내용을 따라 말하기도 하고 느낀 점을 적극적으로 말합니다.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종이접기 관심을 보이고 여러 미술도구를 활용해서 색깔을 알록달록 사용할 줄 알고 섬세하게 색칠하는 모습으로 발전하고 신나는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합니다.
친구들에게 리더십 강한 모습을 보이며, 교사의 요구를 잘 들어주어 친구들에게 솔선수범하여 말을 전달하거나 주의를 끌어 통솔하기도 합니다.
어린이집 생활을 하면서 친구들과 놀이 할 때 무슨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지도 궁금했는데 집에서도 그런 것처럼 블록 놀이로 여러 가지를 만들기 좋아하고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걸 무척 좋아합니다.
평일에도 주말에도 핸드폰을 많이 사용해서 유행하는 음악이나 노래르 집에서도 잘 따라 부르고 춤도 추고 즐기는 모습을 보곤 합니다.
근데 집에서는 아직 편식하는 모습들이 좀 있습니다.
다양한 친구들과 다양한 영역에서 놀이에 잘 참여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말의 빠르기와 발음이 정확하며 교사에게나 친구에게나 자신의 생각과 좋고 싫음에 대한 감정을 분명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문제 상황이 생겼을 때 잘 이야기하려 하지 않으며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지금은 스스로 잘못한 점을 인정하고 친구들에게 미안해, 고마워 등의 사회관계 증진을 위한 언어를 많이 구사합니다. |
 |
친구, 모습, 자다, 말, 보이다, 활동, 놀이, 좋아하다, 이야기, 관심, 집, 보이, 보다, 가지, 읽다, 표현, 교사, 생각, 많다, 좋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