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교육정보와 학술자원의 체계적 운영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반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교육정보학', '디지털 아카이빙', '메타데이터와 정보조직', '학술정보 유통체계론' 등을 이수했습니다.
또한 교육정보 서비스 운영 전략을 주제로 한 팀 프로젝트에서는 대학 간 학술정보 공유 서비스의 이용률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기반 공동보존서고+공동구독 컨소시엄 강화'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설문 기반 요구조사 및 정책 브리핑 작성 경험도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 기반 기획과 현장이해가 결합된 교육서비스 분석 능력을 경쟁력으로 생각하며, 교육서비스 플랫폼의 구조와 기술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자원 공동관리체계 직무와의 정합성이 높다고 자신 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학술정보의 생산-수집-조직-서비스 전 과정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려 노력했고, 도서관·정보·기획분야에서 학문과 실무를 병행하며 학술자원과 이용자 사이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왔습니다.
전국 대학도서관의 학술지 공동구독 및 학위논문 공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KESLI 참여기관 데이터, RISS 학술자원 이용통계, 이용자 검색 로그 데이터를 수집·정제했습니다.
|
|
|
 |
본인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점에 대하여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데이터 기반 기획과 현장이해가 결합된 교육서비스 분석 능력을 경쟁력으로 생각하며, 교육서비스 플랫폼의 구조와 기술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자원 공동관리체계 직무와의 정합성이 높다고 자신 합니다.
이외에도 학술지 오픈 액세스 캠페인 서포터즈 활동, 국립중앙도서관 LinkedData 기반 통합검색실습 경험 등 교육·학술정보 서비스 운영의 전 과정을 다양한 시각에서 경험했습니다 .
이를 위해 교육학술정보의 생산-수집-조직-서비스 전 과정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려 노력했고, 도서관·정보·기획분야에서 학문과 실무를 병행하며 학술자원과 이용자 사이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왔습니다.
KERIS의 대표 서비스 중 하나인 'RISS'는 국내 최대 학술자원 검색 플랫폼 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의 검색 정확도와 학술자료도 달률이 낮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위 논문과 학술지, 연구보고서 등 서로 다른 자원간 '주제-형식-학위 수준 기반 통합검색 필터링' 기능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또한 검색 결과 내 학술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 자료를 활용한 연구사례'와 '유사한 주제로 이어진 최신 자료'를 추천해주는 AI 기반 연계 추천시스템을 도입한다면, 정보 탐색의 정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전국 대학도서관의 학술지 공동구독 및 학위논문 공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KESLI 참여기관 데이터, RISS 학술자원 이용통계, 이용자 검색 로그 데이터를 수집·정제했습니다.
학술자원의 공동관리는 기관 간 협의, 메타데이터 정합성, 시스템 연동 등의 조율이 중요하므로, 기술이해도와 협업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제기반 학위 논문-학술지-연구자료 간 연계도나 활용도에 기반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정보 탐색구조를 강화하고 싶습니다. |
 |
학술, 정보, 기반, 서비스, 자원, 교육, 데이터, 경험, 위해, 기술, 자료, 검색, 분석, 정책, 도서관, 기획, 공유, 계, 운영, 성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