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간호진단] 부정맥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3개 (낙상 위험성,심박출량 감소의 위험,가스교환장애)
리포트 > 의/약학
[부정맥 간호진단] 부정맥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 3개..
한글
2025.04.14
38페이지
1. 부정맥.hwp
2. 부정맥.pdf
부정맥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심박동 불안정성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3] 저산소증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요즘 자주 어지럽고, 일어설 때마다 머리가 핑 돌아요."​
"침대에서 일어나면 세상이 빙글빙글 돌아서 걷기가 힘들어요."​
"어지러워서 화장실 가는 것도 두려워요."​
"최근에 넘어질까 봐 집안에서도 걷기가 조심스러워요."​
"약을 먹으면 어지러움이 좀 나아지는 것 같은데, 가끔씩은 여전히 어지러워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피곤함을 느끼고, 어지러움 때문에 활동량이 줄었어요."​
"의자에서 일어설 때 시야가 어두워지고, 잠시 후에야 정상으로 돌아와요."​

2) 객관적 자료
- 침대에 누워 있을 때 안정적인 상태를 보이나, 일어설 때 어지러움을 호소하며 잠시 멈추는 모습을 보인다.​
- 보행 시 균형을 잡기 어려워하며, 간혹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 혈압 측정 시, 앉은 자세에서 110/70 mmHg를 보이나, 일어서면 90/60 mmHg로 저혈압이 나타난다.​
- 심박수는 안정 시 80회/분으로 정상 범위이나, 일어서면 100회/분으로 증가한다.​
- 호흡은 규칙적이나, 어지러움을 동반할 때 호흡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 말초 산소포화도는 95%로 정상 범위이나, 어지러움 발생 시 90%로 감소한다.​
- 심전도 검사 결과, 간헐적인 부정맥이 관찰되며, 이는 어지러움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환자의 낙상 이력이 있으며, 최근 1개월 이내에 2회의 낙상이 발생하였다.​

중략

5. 간호수행

(1) (4월 1일)
문진과 간호정보조사지를 통해 대상자의 평소 어지러움 발생 시간과 정도를 파악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대상자는 아침에 일어날 때와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 시 어지러움을 느낀다고 하였고, 자주 어지러움을 느껴 최근 1주일간 3회 정도 앉은 상태에서 일어날 때마다 어지러움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일어날 때마다 1~2분 정도 지속되는 현상을 겪고 있었다. 이에 따라, 어지러움이 일어날 때마다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고, 기립성 저혈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혈압은 앉았을 때 120/78 mmHg였고, 일어섰을 때 98/60 mmHg로 나타나 기립성 저혈압이 의심되었다. 이에 따라 일어날 때 천천히 자세를 변화하도록 교육하고, 일어날 때마다 간호사가 옆에서 부축하여 보조하였다.
부정맥, 부정맥 간호진단, 부정맥 간호과정, 부정맥 간호중재, 부정맥 케이스, 부정맥 이론적근거, 부정맥 낙상 위험성, 부정맥 심박출량감소의 위험, 부정맥 가스교환장애, NANDA간호진단
김영자, 이정화. "부정맥 환자의 간호중재와 치료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박미영, 이수경. "부정맥과 관련된 어지러움 증상 관리에 대한 간호 중재." 한국임상간호학회지,
김은경, 오현숙. "부정맥 환자에서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의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최은영, 김혜경.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 관리: 간호사의 역할." 간호과학연구,
정혜진, 박지연. "어지러움 증상이 있는 부정맥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의 효과." 대한심장간호학회지,
김정희, 박혜경, 이수정. "부정맥 환자의 간호중재 및 치료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이은주, 김지영.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간호중재의 효과." 한국심장간호학회지,
정혜숙, 김미정. "심박동 불안정성의 예방과 관리 방안." 대한심장간호학회지,
김영순, 박순희, 정혜경. "부정맥 환자의 간호과정 적용과 간호중재." 간호학회지,
이경희, 김정화. "저산소증 환자에게 있어 간호중재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최혜영, 김미영. "부정맥과 가스교환 장애를 동반한 환자의 간호 중재." 응급간호학회지
[고혈압 간호진단] 고혈압 간호진단 간호과정 .. [심근경색 간호진단] 심근경색 간호진단 간호과..
[골다공증 간호과정] 골다공증 간호진단 간호과.. [뇌졸중 간호과정] 뇌졸중 간호진단 간호과정 ..
[울혈성심부전 간호과정] 울혈성심부전 간호진.. [심근경색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심근경색 대..
[파킨슨병 간호진단] 파킨슨병 간호진단 간호과.. [뇌경색 간호진단]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과정 ..
[신생아 낙상위험성 간호진단] 신생아 낙상위험.. [낙상위험성 간호과정] 치매 알츠하이머 환자 ..
[골관절염 간호진단] 골관절염 간호진단 간호과.. [비사용 증후군 위험성 간호진단] 비사용 증후..
[천식 간호진단] 천식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 [조현병 간호진단] 조현병 간호진단 간호과정 ..
 
[인지기능저하와 관련된 낙상..
알코올 중독과 관련된 자존감 ..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
[의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e..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
[뇌손상] Ataxia[실조증]의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