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가
리포트 > 의/약학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가
한글
2013.05.08
2페이지
1.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
2.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가
실 험 제 목
식품의 미생물(총균수 및 대장균군) 품질평가
서 론
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을 위한 주요 미생물 지표로는 총균수, 대장균 혹은 대장균군, 병원성 미생물이 있다. 총균수는 식품 내에 포함되어 있는 총 미생물 수로써 식품의 오염도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대장균 혹은 대장균군은 식품과 물의 위생 정도를 평가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미생물 지표로써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병원성 미생물 오염의 지표로 이용된다. 병원성 미생물은 식품의 안전성과 직접 연관이 있는 미생물로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
식품의 미생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TSA로부터 총균수, EMB로부터 대장균군의 균수를 측정한다.
실 험 재 료
- 품질평가용 식품 sample(25g) : 돼지고기, 콩나물
- 50ml peptone water-샘플의 균질화(stomachering, homogenization)
- 멸균 stomacher bag
- 9ml peptone water - 10배 희석법
- 미생물 배양배지
· PCA agar - 총균수 : 오염된 관계로 TSA로 대체
· EMB - 대장균군(coliform)
· 기기 : stomacher machine, incubator
실 험 방 법
....
통지서(불량식품공급업체) 먹는 물의 수질판정 기준
환경미생물 실험 - 최확수법[MPN Method] 미생물 생균수 측정 Report
식품미생물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미생물 자기소개서와 면접..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 유전공학에 대하여
세균배양 - 생균수 측정 실험보고서 A++ 애경산업 연구_미생물실험 신입
[수질오염원과 오염지표] 수질오염의 발생원, .. 음용수의 수질기준
채용공고문(식품회사에서품질평가단에대해) 미생물팀 자기소개서
 
[뇌경색 간호진단] 뇌경색 간..
[급성췌장염 간호과정] 급성췌..
[뇌전증 간호과정] 뇌전증(간..
건강사정 기말고사 예상문제 ..
유방암 간호 케이스분석과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