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세미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 강의자료 |  
        |  |  
        |  |  
        |  |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발표 순서
 1.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2. 기업 인벤토리 구축 방안 3. 인벤토리 구축사례 4. 향후 계획
 1.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1-1. 국가 인벤토리 구성항목
 1-1. 국가 인벤토리 구성항목
 1-2. 에너지 부문
 1
 배출량 추정 방법론
 [참고] Tier의 구분
 [ Tier 1]
 연료 소비량을 기준으로 배출계수를 적용하는 방법
 
 [ Tier 2]
 연료연소 기술별 배출계수를 적용하는 방법
 
 [ Tier 3]
 연료소비 아닌 Activity 단위에 대한 배출계수를 적용
 
 1-2. 에너지 부문
 1
 배출량 추정 절차 : 연료연소 CO2 대상
 연료사용량을 공통단위 (열량)로 변환
 제품 몰입 탄소량 추정 (몰입율 %)
 산화율 고려
 5단계
 6단계
 CO2 등가배출량으로 변환
 연료 유형별 사용량 집계 (고유단위 bbl, kg, l등)
 C CO2
 12 44
 Cⅹ44/12 = CO2
 CO2ⅹ12/44 =C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지구온
 난화지수)
 1-3. 산업공정 : 온실가스 종류
 1-3. 산업공정 : 온실가스 종류
 2. 기업 인벤토리 구축방안
 2-1. 기업 인벤토리 개요 및 동향
 1
 정부의 입장에서 본 기업 인벤토리 구축 필요성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 제공
 산업체의 자발적 온실가스 관리 및 각종 프로그램 개발 유도
 국내 온실가스 시장(배출권거래) 형성시 필요 기반
 온실가스 산정 및 보고에 대한 일관성과 투명성 확보
 2
 기업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정부의 역할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보고 지침 개발을 통한 산업체의
 인벤토리 구축 소요비용 절감
 산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정부 승인 및 보증을 통한
 기업 RISK 감축 및 자발적 조기행동 활성화
 기업 자체 배출계수 승인을 통한 사내 온실가스 관리체계 보장
 2-1. 기업 인벤토리 개요 및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