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협의체 사례분석,미영일교육갑협의체,한국의교육감협의체
리포트 > 교육학
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협의체 사례분..
파워포인트
2013.05.03
39페이지
1. 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
2. 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
교육감제지방분권,미국영국일본의 교육감 협의체 사례분석,미영일교육갑협의체,한국의교육감협의체
교육행정이론 (1)
Contents
한국의 교육감 협의체 운영 현황
미, 영, 일 교육감 협의체의 설치 배경과 목적
미, 영, 일 협의체의 조직 운영 및 주요 활동
요약 및 시사점
l 한국의 교육감 협의체 운영 현황 l
시도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의 집행기관
한국의 교육감 협의체 운영 현황
2006년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법률」의 개정으로 교육감 직선제가 도입, 지방교육의 중요성, 지방분권의 촉진 등으로 인하여 교육감의 위상과 역할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교육감의 협의체가 수행할 기능도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
1991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제정,
교육감이 선출되면서 운영시작
1996 협의회 규약 제정, 본격적 활동 전개
매년 5~6회의 협의회와 간담회 개최, 임의기구로서 운영
2006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개정,
교육감 협의체 설립에 관한 조항 신설
임의기구지만 법적 근거를 갖는 기구의 위상을 갖게 됨
2007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교육감 협의체의
설립 신고 조항 신설
2007 법정기구 전환에 따른 신 규약 확정, 임원선출
2008 법정기구로 전환
기본 방향
①국가 교육정책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발전 선도
②학교교육의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교육 실현
③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의 확고한 협력공조 체제 구축,
각 시도 간 정보 교환과 공동 현안에 대한 협의를 통해
지방교육의 균형발전에 기여
목적
“교육에 관한 시도 교육청 상호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며 지방교육자치의
건전한 육성에 기여”
-「전국 시도 교육감협의회 규약」제 2조
....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개념적 의의 및 신중앙.. [지방자치행정의 기초] 지방행정과 지방자치의 ..
한국행정론 - 노무현정부의 지방분권을 통한 행.. 태평양전쟁 분석 및 교훈
[사회복지정책 가치갈등-이데올로기] 지방분권 .. 케인즈주의 하에서의 교육정책의 전개과정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의 쟁점과 과제(지방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국가별 사례관리 발달과정] 외국(미국, 영국, ..
한솔제지,한솔제지기업분석,한솔제지재무분석,..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산업조직론 - 한국 제지산업에 대한 산업조직론.. 한국 제지산업에 대한 산업조직론적 연구
 
다양한 보육프로그램 중 하나..
영유아 보육프로그램(프로젝트..
교육문제의 개혁 방향, 해결방안
[청소년의 여가문화와 언어문..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원인 ..
유치원 어린이집 실습교사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