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방법 - 차별 해소 및 완화를 중심으로 |  
        |  |  
        |  |  
        |  |  
        | Ι. 서론 
 Ⅱ. 본론
 1. 장애인 차별의 종류와 정의
 2. 장애인 차별의 원인
 3. 장애인 차별 현황과 차별 제거 및 완화 방안
 1) 직접차별 관련
 2) 간접차별 관련
 3) 정부 주도 정책 추진
 (1) 탈시설 강화
 (2) 학교 및 회사와의 협동
 (3) 정부 주도 자원봉사
 (4) 장애인 차별 교육
 (5) 마을 축제 활용
 (6) 장애인 직업 및 사회 교육 강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  
        |  |  
        |  |  
        | Ι. 서론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 살면서 직접 겪어보았거나 들어본 적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만약, 둘 다 해당되지 않는다고 해도 ‘장애인’이라는 말이 욕설, 비하, 비난과 같은 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근 십년 동안 장애인들이 사회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예전에 비해 줄어들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장애인 차별이 없다는 응답은 조사자의 63.5%로 과거에 비해 높아졌지만, 여전히 3명 중 1명은 차별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집권 중인 문재인 정부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2017년 9월 19일(법률 제14893호), 2017년 12월 19일(법률 제15272호), 2019년 12월 3일(법률 제16740호), 2020년 6월 9일(법률 제17344호). 2020년 12월 29일(법률 제17792호)에 일부 개정하였다. 대폭 개정된 것도 2번이나 될 정도로 상당히 신경을 쏟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가 엄청나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본론에서는 장애인 차별의 정의와 원인을 제시하고, 차별과 편견을 해소 및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장애인 차별의 종류와 정의
 장애인 차별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그 정의에 대해서 그 무엇보다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림(2021)에 따르면 〃장애인 차별은 직접차별, 간접차별, 정당한 편의제공의 거부에 의한 차별, 광고에 의한 차별이 있다.
 |  
        |  |  
        |  |  
        |  |  
        |  |  
        |  |  
        | 이미림, 2021,「장애인 차별경험과 대처경험에 대한 탐색 연구」,『공공사회연구』 제11권 제1호. 정재우, 2013,「장애인차별과 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의 제도비교를 중심으로」,『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
 한국일보(https://www.hankookilbo.com).
 대한민국구석구석(https://korean.visitkorea.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https://www.kead.or.kr).
 한국직업능력연구원(https://www.krivet.re.kr).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