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붕대법 |  
        |  |  
        |  |  
        |  |  
        | 붕 대 법 
 1.붕대의 사용 목적
 ①.개방성 상처를 덮은 드레싱을 고정한다.
 ②.드레싱 위로 직접 압박을 하여 지혈한다.
 ③.부종을 막거나 억제한다.
 ④.사지나 관절을 고정하거나 지지한다.
 
 2.주위사항
 ①.상처에 직접 붕대를 하지 않는다 (상처 부위는 소독된 드레싱을 한 후 붕대를 감는다).
 ②.붕대를 너무 조여 혈액 순환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한다. 항상 사지의 맥박을 확인한다.
 만약 맥박이 느껴지지 않으면 붕대를 느슨하게 맨다.
 ③.상처에 댄 드레싱이 떨어질 만큼 느슨하게 붕대를 매지 않는다(붕대를 맬 때 가장 흔히하는 실수인데,
 붕대는 시간이 지나면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④.붕대 끝을 느슨하게 두지 않는다 (붕대 끝이 걸려 풀어질 위험이 있다).
 ⑤.손가락이나 발가락은 다쳤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붕대를 매지 않는다. 이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색깔
 변화로 혈액 순환이 정상인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⑥.상처에 탄력붕대를 사용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은 탄력붕대를 단단히 묶는 습관이 있다.
 ⑦.부상자의 목 주위에는 붕대를 하지 않는다 (목졸림의 위험이 있다).
 ⑧.붕대를 감을 때 상처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감지 않는다. 상처 부위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3.붕대가 너무 꽉 조여졌을 경우의 증상
 ①.손톱이나 발톱에 푸른 기가 감돈다.
 ②.피부가 파래지거나 창백해진다.
 ③.감각이 없어지거나 저린다.
 ④.팔다리가 차가워진다.
 ⑤.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움직일 수가 없다.
 
 4.붕대의 종류
 붕대는 감은붕대, 접착성붕대, 거즈붕대, 탄력붕대, 삼각건붕대 등의 여러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①.감은붕대
 특징 :  폭, 길이, 소재가 다양하다.
 신체부위에 따라 다른 넓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