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음악사 상고 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 1)전기 2)후기
 개화기 이후 ~ 현재의 음악
 목차
 1. 상고 시대
 상고 시대 음악
 1) 음악과 춤이 하나가 된 형태
 2) 종교적, 집단적
 EX) 정월 대보름, 단오 축제, 굿, 농악 등
 2. 고구려
 중국과 서역과 활발한 교류
 한나라 음악 → 서역 음악 수용
 7세기 : 수나라의 궁정에서 공연에서 공연 될 만큼 높은 수준이 됨.
 3) 악기 : 거문고, 횡적, 비파, 완함, 요고 등
 4) 고구려 가요 : 유리왕의 ‘ 황조가 ‘, ‘ 공후인 ‘
 3. 백제
 문화 늦게 수용했지만 수, 당, 일본까지 널리 전파
 백제 사람 ‘미마지’는 기악무(탈을 쓰고 노는 양주 별산대 놀이와 비슷)를 일본 상류층 자제들에게 전수
 백제 금동대향로→5인의 악사 모습
 (북, 완함, 거문고, 종적, 배소)
 4) 백제 가요 : ‘무등산’, ‘정읍사’ 등
 4. 신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