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대중음악 중흥 프로젝트 제안서 |  
        |  |  
        |  |  
        |  |  
        | 한국대중음악 중흥을 위한 9가지 제안! - 서태지 컴백열풍을 보며 -
 
 목 차
 
 1. 서태지의 컴백과 대중음악중흥의 가능성
 2.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서태지가 가지는 의미
 (1) 70년대 : 트로트와 포크의 양극화
 (2) 80년대 초․중반 : 수퍼스타 조용필의 일인천하
 (3) 80년대 후반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 카니발리제이션의 시대
 (4) 90년대: 서태지 등장의 의미와 포스트(post)서태지
 3. 외화내빈(外華內貧) : 서태지 이후 90년대 대중음악의 현황과 문제점
 (1) 10대 댄스음악만 남은 빈곤한 가요
 (2) 유일한 홍보매체 방송에의 완전한 종속
 (3) 기획상품이 된 가수와 표절 : 아티스트 부재의 가요계
 (4) 블록버스터 중심의 음반제작과 음반제작의 고비용
 (5) 음반유통의 후진성과 유통과정의 고비용
 (6) 계속되는 음반시장의 침체
 (7) 음반산업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의지 박약
 4. 서태지 컴백과 대중음악중흥의 컴백: 대중음악중흥을 위한 9가지 제안
 < 종합 >
 (1) 제안 1 : 음악산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음반산업중흥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 홍보매체의 다양화 >
 (2) 제안 2 : 공연문화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3) 제안 3 : 방송의 음악시장 지배력 축소가 필요하다.
 < 창의적인 음반제작 지원 및 인력양성 >
 (4) 제안 4 : 독립음반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5) 제안 5 : 창의적인 음악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6) 제안 6 : 음반종합지원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 유통의 선진화 >
 (7) 제안 7 : 음반유통의 전산화와 불법음반근절이 필요하다.
 (8) 제안 8 : 유통관리를 위한 표준코드의 도입 및 세제지원이
 필요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