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추전국시대(B.C.770~221) 제자백가
 백가로 분류한 것은 편의에 따른 것. 대략 189가 존재
 
 제자백가의 역사적 성격
 : 지식과 학문의 확산
 : 학식과 능력으로 신분상승
 : 인간과 자연에 대한 합리적 해석추구  전통문화의 재해석과 모든 지식의 체계적인 정리
 :‘중국적’문화의 골격 완성시기
 공자(B.C.551~479)
 현실구제 원리로 종주
 정명
 가족윤리→국가의 정치와 사회의 규범 도출
 (군군 신신 부부 자자)
 예의 확립을 통한 신분질서 회복을 강조
 교육을 통한 도덕적 완성자 : 군자
 곡부의 공림 공묘 노벽
 사기 권사십칠 공자세가
 孔子生魯昌平邑, 其先宋人也, 曰孔防叔, 防叔生伯夏, 伯夏生叔梁紇, 紇與顔氏女野合而生孔子, 禱尼丘得孔子, 魯襄公二十二年而孔子生,
 生而首上頂, 故因名曰丘, 云字仲尼, 姓孔氏,
 丘生而叔梁紇死, 葬防山.
 맹자(B.C.371~28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