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조선-성리학사회 |  
        |  |  
        |  |  
        |  |  
        | 조선사회 조선의 시기구분
 조선사회의 특성 : 성리학 사회
 춘추전국: 제자백가의 하나(유가)
 
 진 나 라: 법가 채택
 
 한 나 라: 유가 채택(훈고학)
 
 송 나 라: 성리학
 
 명 나 라: 양명학
 
 청 나 라: 고증학
 1. 유학의 흐름과 그 특성
 제자백가 [諸子百家, BC 8세기∼BC 3세기]
 유가(儒家) : 공자, 맹자
 도가(道家) : 노자, 장자
 음양가(陰陽家)
 법가(法家) : 한비자, 상앙
 명가(名家:論理學派)
 묵가(墨家) : 묵자
 종횡가(縱橫家:外交術派)
 잡가(雜家)
 농가(農家)
 춘추전국시대 국가운영방식
 주나라
 춘추시대
 전국시대
 ①仁: 측은지심(惻隱之心)
 
 ②義: 수오지심(羞惡之心)
 
 ③禮: 사양지심(辭讓之心)
 
 ④知: 시비지심(是非之心)
 2. 유학의 핵심 사상: 덕치주의
 성리학의 수용과정 및 전개
 
 시기: 고려말 신흥사대부(신진사대부). 성리학 수용.
 
 주요인물: 정도전, 권근, 서경덕, 이언적, 이황·이이
 
 성리학 수용에서의 두 가지 과제
 . 사상체계의 처리. . 성리학의 이해와 보급
 Ⅱ. 조선: 성리학 사회
 이기론
 
 명분론
 
 가족주의론
 
 2. 성리학의 사상 체계(성리학의 핵심 사상)
 理(이): 존재 그 자체, 사물(물상)
 氣(기): 그 물의 모습, 물형
 
 : 사람이라는 각각의 理가 있는데 그것이 구체화된 것이 氣이다.
 ⇒우주 만물의 생성 및 운영 원리 설명
 ⇒이기론을 바탕으로 명분론과 가족주의론 등장.
 : 신분제 이데올로기 인정 및 강화
 
 1) 이기론
 (1) 청탁론: 기의 맑고 탁함
 청(맑음)-귀인(귀)-덕-군자-지배층
 탁(흐름)-천민(천)-어리석음-소인-피지배층
 →맑은 기를 갖고 태어난 군자는 탁한 기를 갖고 태어난 소인을 지배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
 →지배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
 
 (2) 정명 : 이름 값을 하는 것이 사람이 하는 일.
 신하는 신하로써, 군주는 군주로써 하는 일을 해야한다. 만약 하지 않으면 사회가 혼란스럽다.
 
 (3) 정통론
 중국과 관계를 맺을때도 조선은 신하로써 그 분수를 찾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