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정혜·정효공주 묘지,발해사를 이야기하다 |  
        |  |  
        |  |  
        |  |  
        | 정혜·정효공주 묘지,발해사를 이야기하다 목차
 발해역사의 주인은
 중국의 동북공정
 정혜, 정효공주의 무덤
 두 무덤의 위치가 다른 이유
 정혜, 정효공주의 묘비문
 통치방식을 상징하는 표현, 연호
 발해의 정치적 격변기에 돌입하다
 
 발해역사의 주인은
 한국과 중국·러시아의 견해차이
 ≪구당서≫ [발해말갈전] ‘고려별종’
 ≪신당서≫ [발해전] ‘속말말갈출신으로 고구려에 복속된자’
 ≪속일본기≫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
 발해인이 직접 남긴 기록이 없다.
 발해역사의 주인은- 중국의 동북공정
 동북공정 :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의 줄임말
 중국의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2006년까지 5년을 기한으로 하는 중국의 연구프로젝트
 주목적 : 영토분쟁방지
 
 정혜공주의 무덤
 1949년 돈화의 계동중학과
 연변대학 역사과가 길림성
 돈화시 육정산에서 발굴
 돌사자상
 묘지명
 정효공주의 무덤
 1980년 길림성 화룡현 용두산에서 발굴
 벽화
 비문
 무덤양식
 두 공주의 무덤 위치가 다른 이유는
 정혜공주- 발해의 첫 수도 동모산 부근의 길림성 돈화시 육정산
 정효공주- 발해의 두번째 수도 중경으로 비정되는 길림성 화룡시 서고성 부근의 용두산
 배장- 신하나 처첩의 운구를 임금이나 남편의 무덤 옆에 묻는 것
 정혜공주-3년상, 정효공주-1년상
 두 공주의 무덤 위치가 다른 이유는 발해의 역사
 대조영의 진(698~713)건국
 발해를 국호로 칭함(713)- 발해군왕 책봉
 
 문왕- 당나라와의 관계개선, 당의 선진 문물 수용, 지배체제의 정비
 
 묘비해석-정혜공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