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체의 진화방향과비선형성 그리고 상호작용성 I. 비선형성과 상호작용성
 디지털 미디어의 비선형성
 임의적 접근(Random Access)
 아날로그 미디어와 대비되는 대표적인 특성
 사용자에 의한 시작점 선택과 ‘순차성’ 문제
 Time
 시기에 상관없이 끼어들 수 있음
 시작점과 끝이 구분되지 않음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
 정보 선택 시 수용자의 ‘선택성’
 조작 가능성(manipulatability)
 수용자
 매체
 II. 매체의 진화
 인쇄 매체
 TV
 영화
 게임
 주요매체 구분
 (신문, 잡지, 문학)
 매체 별 특성과 진화방향
 기존 특성
 기존 특성
 진화 방향
 온라인, 하이퍼텍스트,
 스마트폰/타블렛 등뉴 디바이스 결합
 IPTV,
 Smart TV,
 VOD
 DVD,
 인터렉티브 무비
 온라인게임,
 소셜게임
 매체들이 점차 비선형성, 상호작용성을 지니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매체 별 특성과 진화방향
 매체: 1) 인쇄매체
 신문, 잡지의 진화
 기존 전통 매체가 PC, 인터넷과 결합하면서 일방향/수동적 매체에서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특성을 지닌 매체로 진화함
 매체: 1) 인쇄매체
 신문, 잡지의 진화
 최근 스마트폰, 타블렛(iPad 등)과 만나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수용 경향은 더욱 강화되고 있음
 매체: 1) 인쇄매체
 문학의 진화
 마이클 조이스 [오후] (1987), 하이퍼픽션 시도
 작품이 짧은 삽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자가 원하는 경로를 선택하여 줄거리 완성
 매체: 1) 인쇄매체
 문학의 진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