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  
        |  |  
        |  |  
        |  |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1. 한국미술교육의 과제
 1) 미술교과에 대한 편견의 해소
 ·대부분이 미술교과를 기능교과로 인식
 ·현재의 기능중심 미술교육에서 잘못된 점으로 지적되는 점
 ①기능적인면에 대한 협소한 인식
 ②특정한 방법이나 개념을 주입
 ③기능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능력과 동일하다는 인식
 ④표현기능의 향상을 많은 표현 경험에 기대
 ·미술기능, 즉 조형능력을 주제표현을 위한 모든 방법적인 능력의 넓은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재료에 의한 다양한 기법의 제시와 지도를 통해 자신의 표현방법을 발견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조형능력은 방법과 재료, 용구 등 하나하나 짚어나가는 체계적인 지도와의 병행을 통하여 육성된다.
 2) 획일화된 미술교수 방법
 ·창의성에대한 오해-교사가 간섭하지 않으면 창의성이 계발될 것이다 교사의 소극적인 자세 유발
 ·미술교육은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 개별화 수업, 표현주제나 방법, 재료의 선택에서의 개방(학생의 주체적인 참여유도)
 3) 미술 감상·비평교육의 내실화
 ·교육현장에서는 미술수업이 표현 위주로 진행되고 감상교육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감상교육소홀의 요인
 ①미술 감상의 중요성 인식 부족
 ②지도교사의 감상지도 미숙
 ③감상지도의 참고자료 부족
 ④지나친 지식위주의 감상
 4) 미술과 평가의 개선
 ·미술표현의 과정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주로 결과위주의 평가를 하고있다.
 ·미술학습평가에 대한 문제점
 ①평가기준을 설정하기 어렵다
 ②미술작품에 대한 평가는 교육적인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③수행평가를 하기에 학급당 인원이 많다
 ④교사들의 전문성부족
 ⑤표현기능 위주의 평가
 ·최근에는 교육본질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
 5) 미술교사 교육의 혁신
 ·실기 중심의 교원양성- 그 실기 교육조차 심도있게 이루지지 않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