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제주도의 전통가옥 구조와 주거 생활모습 |  
        |  |  
        |  |  
        |  |  
        | 제주도의 전통가옥 구조와 주거 생활모습 
 목차
 ∘ 제주도의 전통 가옥 구조
 1. 가옥의 종류
 2. 전통 가옥의 구조도
 3. 전통 가옥의 배치와 특이점
 
 ∘ 제주도 전통 가옥의 특이점
 1. 지붕의 구조
 2. 정낭
 3. 올레
 
 ∘ 제주도 전통 가옥과 자연환경과의 관계
 1. 일자구조
 2. 지붕 구조
 3. 담벽
 4. 취수문제
 
 동기: 조사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공통 사회 시간에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라는 내용을 배운 것이 생각났다. 이에, 우리가 조사하게 될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주거생활의 연관성을 조사해보기로 하였다.
 
 목적: 제주도의 전통가옥 구조와 주거생활 모습을 조사하여 자연환경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본다.
 
 ∘ 제주도의 전통 가옥 구조
 
 1.전통 가옥의 종류
 
 초가의 크기에 따라 2 칸 집, 3 칸 집, 4 칸 집으로 구분되며 울담 안에 배치된 집의 수에 따라 외 거리 집, 두 거리 집, 네 거리 집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1)외 거리 집
 안거리 한 채와 농사를 위한 마구간과 헛간 등으로 구성된 딸린 채인 ‘목거리’로만 이루어진 집
 
 2)두 거리 집
 안거리와 밖거리 두 채를 갖춘 집, 이때 안거리와 밖거리는 마당을 중심으로, 二자로 마주보거나 자로 배치되기도 한다. 이는 바람이 집 앞으로 들이치는 것을 막아준다.
 
 3)세거리집
 안거리, 밖거리와 목거리, 총 세 채를 갖춘 집, 수납공간이나 부엌, 헛간 등을 따로 짖는 경우가 많다.
 
 4)말코지집
 임시거처로 움집 형태의집 외기둥 구조로 되어있다.
 
 2.전통 가옥의 구조도
 
 용어설명
 안거리: 안채의 제주 방언
 밖거리: 바깥채의 제주 방언
 목거리: 안거리 옆으로 지은 채
 퉁시: 뒷간의 경남 방언
 우영팟: 집 주위에 있는 작은 텃밭(=도루겡이)
 ....
 |  
        |  |  
        |  |  
        |  |  
        |  |  
        | 
			                
            
            |  | 제주도의 宙 생활 |  | 일본 전통 가옥의 특징, 기후, 일본 주택형식 .. |              
            
            |  | 뉴기니의 세픽강 주거형태,주거문화,주거형태,.. |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 |              
            
            |  | 주거환경론 베트남 강수량 |  | 베트남 사회문화 분석 |              
            
            |  | 인간과 환경 |  | 한국과 일본의 축제비교 - 제주도 들불축제와 .. |              
            
            |  | 한국전통주거의주동배치 |  | [건축] 조선후기 전통 주거건축의 칸에 관한 연.. |              
            
            |  | 카메룬의주거,카메룬의주거문화,주거문화사례,.. |  |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징과 .. |              
            
            |  | 제주도답사보고서 |  | 수상주거특징및유형,홍콩의수상주거,애버딘,타..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