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징과 형태 조사분석
리포트 > 생활/환경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징과 형태 조사..
한글
2012.10.25
12페이지
1.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
2.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징과 형태 조사분석
Report
( 한국의 전통가옥 및 일본의 주거문화의 특징과 형태 조사분석 )

목 차

1. 한국의 전통 가옥

2. 일본의 전통 가옥

3. 일본의 현대 주택

4. 일본 주거문화의 특징

5. 일본 주택에서 주의 할 점

1. 한국의 전통 가옥

1) 한국 전통가옥 한옥의 특징

(1) 온돌(난방을 위한 북방문화) + 대청(냉방을 위한 남방문화)

(2)반도국가 이며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성향을 띔

2)한옥의 기능적 분류

(1) 대청

- 안채의 안방과 건넌방, 사랑채의 사랑큰방 앞의 넓은 마루를 의미한다.

- 대청은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의식과 권위를 표현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며 각각의 방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오늘날 주택의 거실에 해당하는 공간이다.

- 여름철에 분합문을 서까래 밑에 내려진 들쇠에 걸어 올려놓으면 대청은 열린 공간으로 생활의 중심이 되는 공간이 되었으며 겨울철에는 분합문을 닫아 한기를 막고 대청공간을 아늑한 실내공간으로 만들었다.

(2) 방

- 전통주택에서 방은 열린 공간인 대청과 반대되는 폐쇄적인 의미를 지닌 개인적인 공간이다.

- 잠을 자고 식사를 하고 휴식을 취하는 전통가옥에서의 방은 잠을 잘 때는 침대대신 따뜻한 구들 방바닥위에 이부자리를 펴고 자고 낮에는 의자대신 방석에 앉아 지내는 좌식생활을 하도록 되어있는 공간이다.

- 신발을 벗고 들어가 바닥에 바로 앉아서 생활하기 때문에 방을 늘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방의 내부는 모두 벽지나 천장지를 발랐으며 바닥은 장판지로 마감하였다.

(3) 사랑

....
일본 전통 가옥의 특징, 기후, 일본 주택형식 .. 일본의전통주택,일본의전통주거형태,일본주거문화
제주도의 전통가옥 구조와 주거 생활모습 뉴기니의 세픽강 주거형태,주거문화,주거형태,..
주택에서 공간의 의미 일본의 의복문화, 시대에 따른 의복 변천, 전통..
[건축] 한국 전통 주거의 주동 배치 - 호남지방.. 한국전통주거의주동배치
[건축] 조선후기 전통 주거건축의 칸에 관한 연..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일본문화 연구]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의복,.. 제주도의 宙 생활
일본 전통의상(기모노) 역사 및 유래, 특징, 의.. 일본문화1
 
일본 전통 가옥의 특징, 기후,..
토루중국의전통가옥에대하여
(사회복지현장실습) 중간평가..
(사회복지현장실습) 종결 평가..
(사회복지현장실습)학기중 실..
[사회복지정책론] 신자유주의 ..
우리나라 행정구역의 개편 필..
결혼이주여성-개념,현황,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