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과 보고서 
 산 해리 평형
 
 1.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pH meter를 사용해 pH를 측정하고, pH와 Ka, x=[H+]의 관계식을 통해 Ka와 pKa, % 해리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pH를 통해 두 가지 미지 시료의 산해리상수를 구하여 미지시료를 결정한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약산이 해리하는 특성을 알아보고 산-해리 평형의 상태를 예측해볼 수 있다.
 실험 결과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pH, Ka 등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해야 한다. 먼저
 pH = -log10[H3O+]
 이고 pH가 7보다 크면 염기성, pH가 7이면 중성, pH가 7보다 작으면 산성이다.①
 HA ↔ H+ + A-와 같이 해리하는 약산의 경우에 산-해리 평형상수(Ka)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Ka = [H+][A-] / [HA]
 그런데 H+이온이 하나 생길 때마다 A-이온도 하나씩 생기므로 [H+]=[A-]=x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평형 상태에서 약산의 농도, [HA]‘는 [HA]0-x로 주어진다. 따라서 산-해리 평형상수는
 Ka = x2 / ([HA]0-x)
 로 나타낼 수도 있다.
 pKa,는 pH와 비슷하게 생각하면 되는 개념으로 pH가 [H+]에 -log를 취한 것처럼 Ka에 -log를 취한 것이다.
 pKa = -logKa
 마지막으로 %해리도는 ([H+] / [HA]‘) × 100(%) = (x / [HA]‘) × 100(%)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pH meter라는 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기기는 매우 정교한 기기이므로 조심스럽게 다뤄야 한다. 유리전극을 1분 이상 대기 상에 놔두면 손상되므로 증류수에 넣어놓거나 아니면 용액 속에 담가두어야 한다.
 
 2. Data and Result
 
 sample A
 sample B
 0.1몰
 2.83
 1.67
 0.01몰
 3.36
 2.29
 0.001몰
 3.96
 3.19
 ....
 |